![]() |
통영시청 전경<제공=통영시> |
행정이 추진하는 정책은 많은데, 정작 시민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해야 하는지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었다.
신철기 의원은 "시민이 시정을 모른다는 것은 곧 행정이 스스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라 말했다.
공보감사실 담당자는 "보도자료를 정기적으로 배포하고 있다"고 답했지만, 그 자료가 시민 참여로 이어졌는지는 불분명했다.
보도자료는 쏟아졌지만, 메시지는 하나로 모이지 않았다.
정책 홍보가 아니라 행사 안내에 치중된 구조도 비판을 받았다.
시민은 알고 싶은 것을 찾지만, 행정은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줬다.
시정홍보가 정보 전달에 머무는 순간 행정은 소통을 잃는다.
홍보 핵심은 양이 아니라 맥락이다.
무엇을 말할지보다 왜 말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공보감사실이 메시지를 관리하지 못하면 시정 방향도 흐려진다.
시민이 행정을 기억하게 하는 것은 문장이 아니라 진심이다.
통영=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