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성군청 전경<제공=고성군> |
이정숙 의원은 "노인일자리사업은 일자리보다 안전이 먼저"라며 관리 체계 강화를 요구했다.
행감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참여자는 1700명에 달하지만, 안전사고 대응 매뉴얼이 통일돼 있지 않았다.
이 의원은 "교육이 서류에만 남고 현장에서는 반복 사고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3월 공원 환경정비 사업 참여자가 넘어져 골절상을 입은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는 "단순 교육으로는 예방이 안 된다"며 실습 중심 안전교육 도입을 제안했다.
복지지원과 담당자는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매월 실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교육이 형식화돼 실제 예방 효과가 떨어진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김희태 의원은 "노인일자리사업은 생계형 참여자가 많아, 안전 부주의가 곧 생계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위원들은 "사업 수행기관과 현장 지도점검 체계를 분리하지 말고 통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현장 확인 없이 기관 자율에 맡기는 구조는 행정의 책임 회피"라고 강조했다.
복지지원과는 "현장 점검 주기를 단축하고, 안전장비 보급률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노인의 일은 생계이자 존엄이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일자리는 배려가 아니라 방치다.
고성=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