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동한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 |
AI는 짧은 기간에 무서운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2016년 이세돌 9단과 바둑을 두었던 인공지능 알파고는 이제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단순히 이미지나 텍스트 등을 학습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텍스트 중심의 언어모델인 LLM(Large Language Model)과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LMM(Large Multimodal Model)으로 진화하였고 어느새 많은 사람들은 이것을 활용하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네이버나 구글 등을 통해 자료를 검색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ChatGPT나 제미나이(Gemini) 등을 통해 원하는 일들을 처리하고 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DX(Digital Transformation)를 통해 업무 효율화 시키는 것이 주된 혁신운동이었지만 이제는 AX(AI Transformation)를 도입하여 일하는 방식 자체를 변혁하려는 움직임이 모든 조직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렇게 하지않으면 글로벌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한다는 위기감도 한 몫 한다.
산업 전반에 침투하고 있는 AI혁명은 눈부시다. 생성형 AI와 에이전트 AI를 거쳐 AI의 끝판왕이라 불리는 피지컬 AI로의 변화속도는 너무 빨라 어지러울 정도다. 피지컬 AI는 사람 대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서 AI 스스로가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인간처럼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면서 환경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이다.
인간의 형체를 닮은 휴머노이드, 사람 없이 스스로 물건을 만들어 내는 다크 팩토리, 인간의 뇌와 AI가 만나는 BCI(Brain-Computer Interface),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과 드론까지 피지컬 AI의 적용범위는 무한대다. 이제 AI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로 인간의 지능처럼 모든 종류의 문제 해결과 학습이 가능한 만능 AI로 변화를 꿈꾼다.
전세계가 AI 전쟁이라 할만큼 기술에 뒤처지지 않기 위하여 아니 살아남기 위하여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미국, 중국과 함께 세계 3강을 목표로 도전에 나섰다. 대전시는 일찍이 민선8기 100대 과제로 AI 거점도시 조성을 목표로 역량을 집중해 왔다. 「대전시 AI산업 육성 및 지원조례」에 따라 대전시 AI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하였고. 정부의 '국가AI연구소'와 '국가초지능연구소' 설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대전을 국내 AI 메카로 만들기 위하여 정부 정책방향에 맞춰 기초과학 맞춤형인 버티컬AI, 범용인공지능(AGI)연구를 전폭 지원하고 있으며 AI인재풀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수립 등 대전형 AI를 육성중이다.
AI에 역량을 쏟아붇고 있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IITP(정보통신전략평가원)가 AI 핵심 요소기술의 연구·개발에 진력하고 있으며 인공지능대학원을 운영중인 KAIST와 충남대에서는 AI 인력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AI는 하나의 산업이기도 하지만 넓게 보면 모든 산업의 혁신을 도모하는 광범위한 플랫폼이다. 대전시는 우주항공, 바이오, 반도체, 국방, 퀀텀, 로봇 등 6대 전략산업을 AI로의 전환을 추진중이다. 대전의 AI 연구인력은 서울·경기 제외 1위이고 AI관련 특허출원수도 서울·경기 에 이어 3위이다. 과학기술의 수도 대전 없는 AI는 생각할 수도 없다. 대전은 AI를 넘어 NEXT AI를 바라보고 있다. /이동한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조훈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