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9] '신재효일까, 송흥록일까’… 우리나라 첫 판소리 명창은?

[10년간의 취재 기록-9] '신재효일까, 송흥록일까’… 우리나라 첫 판소리 명창은?

첫 판소리 명창은 ‘우춘대, 하은담, 최선달’, 2명은 충청도 출신
판소리 ‘제’(制), ‘ 무숙이타령 필사본’서 첫 언급…최석황, 하은담과 동시대 인물

  • 승인 2021-04-13 14:02
  • 수정 2021-08-24 00:48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국악음반박물관소장_무숙이타령_필사본
전승이 끊어진 조선시대 판소리 무숙이타령 사설이 기록된 '게우사(戒友詞)' 희귀 문헌. 1890년 필사.
판소리에서 '제'(制)라는 말이 붙은 단어 가운데 문헌에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이 필사본에 적혀있는 '내포제'가 가장 오래 전에 쓰인 말이다. 충청도 지역의 음악 문화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가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판소리를 불렀던 사람은 과연 어떤 인물이었을까. 판소리 발전에 큰 족적을 남긴 신재효(1812~1884) 선생이었을까, 아니면 가왕(歌王)으로 불렸던 송흥록(1801 ~ 1863년) 명창이나 조선 8명창 중의 한사람이었을까. 신재효 선생같은 경우는 교과서에도 실릴 정도로 매우 익숙한 인물이다. 송흥록 명창 등 조선 8명창은 현재까지 언론 매체 등에서 많이 다뤘던 인물들이다. 그러나 판소리가 어느 시점부터 시작됐고, 또 어떤 사람이 처음으로 불렀는지 정확한 근거자료는 없다. 다만, 오래된 판소리 기록 문헌에서 '판소리 시작점'을 추측할 수 있다.

판소리 기록 문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만화집(晩華集)'이다. 조선시대인 1754년, 충청남도 목천 선비 유진한이 춘향가에 대해 쓴 장편시가 이 만화집에 실렸다. 기록 문헌도 있지만 대부분 사설 등 판소리와 관련된 것들은 구전으로 전해져 온다. 지금도 판소리를 배우는 학생 등도 스승에게 구전으로 소리를 배우고 있다.

ㅇ
노재명 판소리학자가 2017년에 초기 판소리 명창 우춘대의 심청가 중 '화초타령' 장면을 형상화 한 설치미술 작품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구전에 따르면 판소리 첫 명창으로 거론된 인물은 '우춘대, 하은담, 최선달'이다. 이들은 판소리 명창 중에서 가장 오래전 명창, 즉 판소리를 처음으로 불렀던 사람으로 꼽힌다. 하은담은 하한담, 하언담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런데 이들 명창 중에서 2명인 하은담과 최선달은 충청도 출신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는 게 국악학계의 의견이다. 충청도 중고제를 오랫동안 탐구해온 청주의 조동언 명창은 "초기 판소리가 충청도에서 시작된 만큼 첫 판소리 명창도 충청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춘대, 하은담, 최선달 명창은 18세기에 활동했던 명창들로 알려졌다. 노재명 국악학자 편저 '잊혀진 판소리 무숙이타령을 찾아서'(2020년)에서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노 학자는 이 책에서 판소리 '제'(制)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 판소리에서 '제'(制)라는 말이 붙은 단어 가운데 문헌에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무숙이타령 필사본(국악음반박물과 소장)이다. 필사본에 적혀있는 최석황 명창의 '내포제'가 가장 오래 전에 쓰여진 것이라는 게 노 학자의 설명이다.



조선시대 숙종 무렵인 최석황, 하은담 시대에 이미 충청도 지역의 음악 문화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최석황은 '무숙이타령 필사본'의 기록으로 봤을 때 하은담과 동시대에 활동한 명창으로 추정된다. 정노식 저서 '조선창극사(1940년)'에도 하은담(하한담)과 함께 판소리의 효시(嚆矢)로 충남 결성의 최선달이라고 기록돼 있다. 최선달이 최석황과 동일 인물이거나 같은 집안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하은담과 최선달이 충청도 명창이라면 충청도 사투리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를 구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초기 판소리 사설 등은 '충청도 스타일'로 구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 편은 판소리 사설은 왜 '전라도 사투리'로 돼 있을까에 대해 다룬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3.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4.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5.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1.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