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부산지역 9개 공공기관은 14일 부산국제금융센터 3층 캠코마루에서 (사)사회적기업연구원과 부산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동기금 위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4년차 사업 시행을 위한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 기금(BEF)' 11억7천만 원을 전달했다.
이들 공공기관은 지난 3년간 기금(BEF) 28억3천만 원을 조성, 64개 사회적경제기업에 금융지원 사업 등 총 17억8천만 원을 지원해 신규 일자리 124개 창출과 매출 29억 원 증대 등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조성된 기금은 11억7천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3천만 원 늘었으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금으로 쓰인다.
특히, BEF를 통한 사회적경제기업 지원 4년 차에 접어든 올해는 금융지원을 역대 최대인 7억4천만 원으로 확대해 사회적경제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코로나19 극복 긴급대출 부문을 신설해 21개 대상기업에 최대 1천만 원까지 무이자로 지원할 방침이다.
황호선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은 "올해 BEF에 공사가 처음 참여해 지역의 더 많은 사회적 기업에 지원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공사는 지속적인 사회적 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2017년 1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 해운산업을 살리기 위해 "가칭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설립 논의가 시작되었다. 문 대통령은 현재 한국선박회사의 자본금이 1조 원 정도로 매우 부족하여 4조 ~ 5조 원 규모의 기관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 것이다.
대통령에 당선된 뒤인 5월 31일 바다의 날 기념식에서는 "해운·조선산업이 국가 경제 핵심의 한 축이며, 전시엔 육·해·공군에 이어 제4군 역할을 하는 기간산업"이라고 강조하며 금융지원을 위한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의 설립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외 17명이 「한국해양진흥공사법」 제정안을 발의했으며, 12월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통과된 법률안은 2018년 1월 16일 공포되었으며, 7월 5일 발족했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