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지난 4년간 전국 16개 시도 지하수 수질을 조사한 결과, 대전권 지하수는 전국 평균 초과율(3.3%)의 5배치인 15.1%에 이르는 등 최악의 수질상태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7일 열린우리당 장복심 의원(비례대표)에게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수질측정망운영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지하수 수질이 15.1%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10.1%)과 울산(7.5%)이 뒤를 잇고 있어 해당지자체의 지하수관정 및 오염물질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달리 제주의 경우 4년 연속 기준치를 초과한 항목이 전혀 없어 전국 최고의 깨끗한 지하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서울(1.5)과 대구(1.6),광주(1.6),충북(1.5),경남(1.3) 등도 비교적 양호한 수질상태를 보였다.
이처럼 기준치를 초과한 질산성질소가 검출된 물을 마신 유아는 유아백청증을 일으킬 수 있고,트리클로로에틸린(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은 치명적인 간기능장애와 신경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방환경청이 오염우려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수 수질측정결과 지난 한해만 총 1469개의 조시시료 중 7.1%인 105개가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며, 측정항목별로는 일반세균(39%), 질산성질소(24%) 드리클로로에틸렌(13%), 염소이온(13%), 테드라클로로에틸렌(6%), pH(5%)순이었으나, 2004년부터 측정항목에 추가된 일반세균을 제외하면 지난 4년간 질산성질소에 의한 지하수오염이 가장 심각한 36%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장 의원은 “현행법상 실패공에 대한 복구비용을 개발업체가 담당하고 있어 비용절감을 위해 원상복구를 은폐하거나 방치하는 사례가 많고 특히 미신고 대상시설은 원상복구의무가 없어 폐공방치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