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대전교육청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에 따르면 교육청 소속 공무직 직종별 단체교섭이 22일 당직실무원 직종부터 재개될 예정이다. 이는 학비노조의 교섭 요구에 따른 것으로 학비노조는 당직과 청소 직종 공무직에 대한 교섭을 우선 요구한 상태다.
학교 급식 조리원 준법투쟁으로 촉발된 급식실 갈등 사태 이후 일부 학교에선 석식 중단과 조리원 단체 병가 등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석식을 중단한 서구 소재 A고에선 학교장이 조리원들에 대한 징계의결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더 번지고 있다. 중구 소재 B중은 전날인 7일 조리원들이 병가를 끝내고 현장에 복귀했다. 다만 몇 주 동안 급식실을 사용하지 않아 청소 문제로 당장 급식 재개는 어려운 것으로 전해진다. 다행히 두 학교 외에 추가 갈등 사태를 빚는 학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근무 여건 개선을 요구하는 조리원과 이에 대해 반발하는 학교 측과의 갈등이 이어지자 대전교육청이 갈등 봉합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교육청 측은 근본적 문제인 배치기준 완화 카드를 꺼내며 의지를 밝히기도 했지만 이번 사태를 마무리 지을 교섭 일정은 아직 잡지 못하고 있다. 학비노조 측은 당장 정년을 앞둔 당직실무원 직종부터 교섭 진행을 요구한 반면 교육청은 타 직종보다 조리원 직종에 대한 우선 논의를 주장하며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현 상태가 장기화될 땐 학비노조 측이 투쟁 수위를 높일 가능성도 있어 조속히 논의 테이블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 그동안 학비노조 측은 학생 급식을 지속하며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준법투쟁에 나섰다고 재차 밝혔다. 학비노조 측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준법투쟁보다 수위를 높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청이 조리원 직종 관련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고 현재 상황을 타결할 만한 입장이 있다면 특별교섭을 요청할 수도 있다"며 "다만 현재까지 이런 움직임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직종별 교섭을 위해선 교육청 행정과와 실무 부서인 체육예술건강과 간 논의가 요구되지만 적극적인 일정 조율이나 교섭 요구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전교육청 체육예술건강과 관계자는 "현재까지 교섭 일정에 대해 이야기한 건 없다"며 "행정과와 협의해 일정을 알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교육청 행정과 관계자는 "조리원(직종)을 먼저 하자고 했는데 노조 측에서 당직과 청소 직종부터 하자고 해서 날짜를 잡은 것"이라며 "조리원 쪽도 날짜를 빨리 잡기 위해 대화를 해 보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