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주영 기업유통팀장 |
대전에서도 당 2000원 시대가 눈앞에 닥쳤다. 운전자들은 주유소 근처 가기도 겁이 날 정도라고 한다.
또 식재료 상승으로 충남대 구대식당이 문을 닫았고 대전시청 구내식당 가격도 20%가 오르는 등 '먹을거리ㆍ끼니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당초 계약만기일이 오는 8월인 충남대 제1후생관의 임대식당은 치솟는 물가에 비해 학내 식비 인상의 한계를 이유로 운영 포기 의사를 밝혔다.
대전시도 지난 1일부터 시청 구내식당 가격을 직원은 2500원에서 3000원으로, 외부인으로 3000원에서 3500원으로 각각 500원씩 인상했다.
경실련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소비자 물가 지수를 보면, 정부가 서민 경제를 위해 중점 관리하겠다고 한 'MB 물가지수' 가운데, 배추와 마늘, 고등어 등 특별 물가 관리 품목은 지난 3년간, 70~114% 가량 상승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물가를 잡겠다며 강력한 행정 조치 등을 취할 태세다.
그러나 가격은 되레 더 오르며 '공권력'을 비웃고 있다. 서민들은 어이 없어 한다. 대통령의 말이 통하지 않는 것이 레임덕이 시작된게 아니냐는 '정치적 판단'도 내놓고 있다.
2월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급등과 이상한파 등의 영향으로 2개월 연속 4%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중동의 정세 불안과 유가 급등으로 석유류 가격은 12.8%나 상승했다.
정부 관계자도 놀랐다고 한다.
통계청이 내놓은 2월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5% 상승하고 전월 대비로는 0.7%가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08년 12월의 4.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월 2.7% 이후 8월까지 2%대를 유지하다가 그 해 9월 3.6%, 10월 4.1%, 11월 3.3%, 12월 3.5%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1월에는 4.1%를 기록해 4% 선도 뛰어넘었다. 또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5.2%, 전월 대비 0.8% 올랐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5.2% 올라 2008년 9월(5.5%)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보다는 0.9% 상승했다. 생선·채소·과실류 등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5.2%가 올라 작년 6월 이후 9개월 연속 두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전달보다는 0.8%가 올랐다.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1% 올라 2009년 8월(3.1%)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는 전월에 비해서도 0.7% 올랐다.
또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19.9% 올랐고, 국제 유가 급등의 영향을 받아 등유(19.3%), 경유(14.6%), 휘발유(11.1%)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또 전세(3.1%)와 월세(1.9%)도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또다른 서민들의 '고단 지수'로 꼽히는 집값도 무섭게 오르고 있다.
전세 상승률은 2004년 2월(3.3%) 이후 7년만에 가장 높았다.
전세대란이 일어 서민들은 집을 구하기가 막막하다는 하소연을 내놓고 있다.
이런 현실에도 정부는 5% 성장, 3% 물가안정 목표에 수정 계획은 없다고 거듭 밝히고 있다.
정부는 국제유가 급등에 따라 세제를 포함한 종합적인 비상계획을 수립하는 등 비상물가 대응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통신비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시장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가격인가 방식과 통신요금·결정구조 재검토 등을 추진할 정부 통신요금 태스크포스도 가동한다고도 했다.
문제는 정부의 물가 대책이 시장에서 얼마나 먹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봐야 한다는 점이다.
경제 대통령을 자임하고 나선 이명박 정부의 집권 4년차.
서민들은 여러 생각을 한다. 자신이 행사한 투표권을 제대로 행사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자책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차분하게 경제를 운영해 국민들 모두가 편하게 경제 생활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달라는 주문을 정부 당국에 재차 해본다. 그러나 많은 서민들이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게 큰 걱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