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지난달 심각한 구제역 여파로 충청권 궐기대회가 연기된 뒤에도 충청권 각 지역별로 비대위 결성을 끝내는 등 잠시도 과학벨트 이행 촉구를 멈추지 않았다. 충청권 시·도지사와 광역의회의장, 지역 국회의원까지 가세한 이러한 움직임이 지역이기주의가 될 수 없다. 영·호남에 조장되는 유치 움직임과는 기본 성격부터가 다르다. 원래 있던 그대로 충청권 조성 공약을 이행하라는 정당한 것이다.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힘을 모은 비대위는 지역 역량을 집중할 구심체로 연대를 이뤄낼 준비가 돼 있다. 오는 23일 충청향우회 주최로 국회에서, 다음달에는 비대위 주최로 청주 집회가 예정돼 있다. 당연한 사안에 당위성 검증을 하는 현실이 안타깝지만 가만히 앉아 과학벨트를 내줄 수 없는 일이다.
오히려 지역민의 의지가 관철될 때까지 활동을 멈추지 않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퍼져가고 있다. 물론 충청권 안에서만이 아닌 그 당위성을 대내외적으로 알릴 기회를 많이 가져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지역적 관점이 아닌 국가적 관점에서 논리를 전파해야 설득력이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을 해도 충청권이 최적지다. 지진이나 해일과 관련해 지정학적으로 안전한 충청권이 적합하다는 것은 보도를 통해서도 다뤄졌다. 하지만 미래 성장동력을 전제로 한 과학계의 폭넓은 공감은 아직 더 필요하다. 대덕의 과학자들은 충청권 당위성에 공감하면서 정책 논리 개발을 주문하는 한편, 광주시 등이 과학계를 대상으로 유치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럴수록 충청권의 목소리는 높아져 갈 것이다. 16일에는 또한 충남권 시·군 자치단체장들도 과학의 미래를 정치적인 잣대로 재단하지 말라는 경고를 담아 충남도민의 이름으로 힘을 보탰다. 이렇듯 충청권 민·관·정 모두 일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의 '충심'과 '진정성'을 받아들여 충청권 입지를 빨리 매듭짓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