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수질오염총량제 3단계 시행 앞 "배출량 줄여라" 비상

  • 사회/교육
  • 사건/사고

금강 수질오염총량제 3단계 시행 앞 "배출량 줄여라" 비상

환경부 BOD·T-P기준 강화 지자체 허용량 미준수땐 지역개발 참여 못해

  • 승인 2015-01-05 17:28
  • 신문게재 2015-01-06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금강의 목표 수질을 높이는 수질오염총량관리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충청권 지자체들이 오염물질 배출량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자체가 지역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 총량을 배출허용량 이하로 줄이지 못하면 도시개발에 제약이 뒤따르는 것으로, 목표수질이 더 강화돼 시행된다. 금강에 수질을 보존하면서 지역개발 욕구를 조절하는 제도라는 분석과 목표수질의 형평성 차이로 상·하류지역에 갈등을 낳는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5일 금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2005년부터 시행된 금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1·2단계를 거쳐 내년부터 3단계가 시행된다.

금강에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29개 지자체에 각각 배출허용량을 할당하고 범위 내에서 배출을 의무화해 금강의 수질을 유지하는 제도다.

이미 환경부는 내년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수질을 상징하는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과 T-P(총인)의 목표수질을 강화해 확정발표했다.

대청호 상류에서만 이뤄지던 T-P 총량관리를 금강 모든 유역으로 확장했고, 2곳이던 목표수질 관리지점을 5곳으로 확대해 오염원 관리를 강화한 게 특징이다.

금강유역청 관계자는 “금강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총량을 기준으로 금강수계 지자체에 적정량을 할당해 배출량을 제한하는 것으로 금강의 수질을 끌어올리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3단계에서는 대전이 속한 갑천A 구간에 BOD농도는 5.9㎎/L에서 5.2㎎/L으로 대폭 강화됐고, T-P은 0.2㎎/L로 신설됐다. 또 충북도와 세종시의 경계인 미호천에서 BOD 4.3→4.1㎎/L, T-P 0.14㎎/L 등으로 강화됐다. 수질오염물질 중 T-P는 3단계에서 처음 관리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충남 지자체들은 총인처리시설을 갖추거나 배출량을 줄이는 데 허덕이는 실정이다.

문제는 지역에서 배출허용량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는 도시개발이 제한되는 제재가 뒤따르고, 실제 충북 청원에서 배출량을 줄이지 못해 총량관리제에 따라 도시개발이 미뤄진 사례가 있다는 점이다.

또 배출허용량을 정할 때 기존 농촌지역은 목표수질을 엄격하게 설정해 산업단지 등 신규개발을 시도조차 할 수 없는 역효과도 지적되고 있다.

충남발전연구원 김흥수 물환경연구센터장은 '충남 수질오염총량관리 대응방안'을 통해 “미개발 지역은 깨끗한 수질환경에도 불구하고 지역개발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어 지역 구성원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합리적 목표수질 설정을 통해 지자체가 스스로 수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3.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