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잔디광장에서 열린 국회 상징석 제막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상징석에는 국회가 민주주의의 보루로서 '12·3 비상계엄' 해제를 이끌었다는 내용의 문구가 새겨져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국회는 이날 오전 제헌절 기념식에 앞서 국회 잔디광장에서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를 새긴 상징석을 설치하는 제막식을 열었다.
가로 5m, 세로 2m, 높이 1.2m 크기인 상징석은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느닷없이 선포한 비상계엄을 국회가 표결을 통해 신속하게 해제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상징석 밑에는 100년 후 개봉할 예정인 2025년 대한민국 시대상을 담은 타임캡슐을 묻었다.
제막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이학영·주호영 국회부의장,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등 여야 정치인들이 참석했지만,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불참했다.
![]() |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기념 상징석 제막식에서 상징석 글귀를 읽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어 "돌아보면 국회가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라는 문구를 스스로 새길 수 있게 되기까지 참으로 험난한 헌정사가 있었다"며 "민주주의는 한 번에 완성되는 게 아니라 끊임없이 노력해야 유지된다는 점을 인식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헌법과 국회에 대한 신뢰를 잊지 않고 국민의 뜻이 중심이 되는 국회를 만들자고 다짐한다"며 "국민께서 상징석을 보면서 국회의 다짐을 격려·독려하고 제대로 하지 못하면 질책해주실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소속 주호영 부의장은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재판소의 최종 심판에 의해 부당하고 잘못된 것임이 확정됐다"며 "헌정 중단이 있을 뻔한 사태를 두고 국회의 신속한 결정으로 해제해 헌정을 지켜낸 것은 상당히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국민이 가장 앞장서서 비상계엄을 막아냈지만 저희가 거기에 일조했다는 데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내란을 철저하게 단죄하고 응징하지 않으면 충분히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으면 좋겠다"고 했다.
![]() |
17일 국회 중앙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식 경축식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국회 |
우 의장은 행사 후 국회 사랑재에서 전직 국회 의장단(김원기·임채정·정세균·문희상·박병석·김진표)과 정대철 헌정회장, 유경현·이경재 감사패 수상자, 윤인구 제헌국회 의원 유족회장 등과 오찬을 함께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