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올바른 인재 등용은 국가 초석의 지름길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올바른 인재 등용은 국가 초석의 지름길

김용복 / 극작가, 칼럼니스트

  • 승인 2017-12-21 17:57
  • 수정 2017-12-21 18:06
  • 김용복 극작가 칼럼니스트김용복 극작가 칼럼니스트
장영실초상
장영실 초상
존현사능(尊賢使能)이라? 孟子, 公孫丑章句에 나오는 이 말.

무슨 말일까? '현자(賢者)를 바른 위(位)에 앉히고, 능자(能者)를 바른 직(職)에 앉힌다.'는 이 말.

'치욕을 싫어한다면, 덕행(德行)을 귀하게 여기고 지식인을 존중하여, 덕행을 구비한 현자를 있어야만 할 자리에 있게 하고, 능력 있는 지식인이 적합한 직무를 담당케 하는 것, 그 이상의 시급한 처방은 없다.

오늘날 우리나라 정치나 사법' 행정의 고위 공직자 임용을 보면 이러한 문제가 얼마나 절실한 과제상황인지 통탄할 노릇이다. 오로지 권력자의 개인적 인맥으로 인한 뒷거래가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



장영실은 경상도 동래현에서 관기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래서 그는 태어날 때부터 천민(賤民)이기에 높은 권력을 가진 인맥도 없고 뒷거래할 돈도 없었다. 그러나 그는 군주를 잘 만났고 심안(心眼)을 가진 목민관을 만났다. 관청의 노비로 있으면서도 시간만 나면 책을 읽고 연구하여 영남 지방에 가뭄이 들었을 때 해결한 공으로 동래 현감으로부터 신임을 받기 시작했다.

1423년(세종 5년), '도천법'으로 인재를 뽑을 때, 동래 현감과 경상도 관찰사의 추천으로 세종대왕에게 천거되어 상의원 별좌가 되었으며,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 수많은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현감이나 경상도 관찰사가 뇌물을 밝히지 않는 인물이었기에 가능 했던 것이고, 세종 임금이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인재를 등용할 때 왜 뒷거래 가 없었으며 거물급 압력이 없겠는가? 하지만 장영실의 인재 등용은 백락일고(伯樂一顧)의 고사가 이에 딱 들어맞는다 할 것이다.

어디 장영실 뿐이랴.

후한(後漢) 말엽, 유비(劉備)는 관우(關羽), 장비(張飛)와 의형제를 맺고 한실(漢室)의 부흥을 위해 유능한 참모의 필요성을 느끼고 남양(南陽)에 은거하는 제갈량(諸葛亮)의 존재를 알게 되자 관우, 장비와 함께 예물을 싣고 양양(襄陽)에 있는 그의 초가집을 세 번이나 방문한 끝에 그를 군사(軍師)로 모실 수가 있었다. 이때 제갈량은 27세, 유비는 47세였다.

능력있는 인재 등용을 위해 무엇인들 못하랴?

왜군을 맞아 승전을 거듭했던 이순신은 모함을 받아 서울로 압송되고 인맥이 좋은 원균 장군에게 자리를 물려주게 된 결과가 어찌 되었는가?

史記, 滑稽列傳(골계열전)에보면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위왕(威王) 이야기가 나온다. 위왕은 30살에 즉위하여 지방 순시를 잘 했다.

많은 신하를 이끌고 국내 순시에 나서 즉묵(卽墨:산동성)에 갔더니 논밭은 잘 경작되어 작황도 순조로우며, 백성의 생활도 풍요로웠다. 왕은 즉묵의 대부를 불러, "이만큼 잘 다스려지고 있는데, 그대를 비난하는 소리가 높은 것은 내 측근에게 뇌물을 보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고 칭찬하며, 즉시 1만호의 봉토(封土)를 주었다.

다음에는 '아(阿)'지방으로 갔다. '아(阿)'지방은 논밭이 황폐해져 있었고 백성들의 얼굴도 어두웠다. 왕이 대부를 불러내어 꾸짖었다. "이런 모양인데도 그대를 칭찬하는 소리가 내 귀에 따갑게 들린 것은 측근에게 뇌물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 분명하다."

대궐로 돌아온 위왕은 전국 72현의 현령을 소집하고 신상필벌의 평정을 내렸다. 마지막으로 '아(阿)'의 대부는 특히 악질이라 하여 솥에 삶아 죽이는 팽형(烹刑)에 처하고 그를 추천한 자도 같은 죄라 하여 처단했다.

관리를 등용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로 해야 할 것이 그의 인품과 능력일 것이다.

내게 충성을 바친 인물이기에, 인품이나 능력을 뒤로 하고, 나에게 뇌물을 바친 자이기에 그를 천거하여 담당자에게 압력을 넣는다면 그 피해는 곧바로 백성들에게 가는 법. 옛날에는 배우지 못했고 정보를 알려주는 인터넷도, 스마트 폰도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다르다. 누가 인사권에 개입하여 누구를 밀었는지 임용도 되기 전에 세상에 떠돈다. 그러니 코드보다 능력과 기준에 따라 인재를 등용해야 할 것이다.

국민을 위하는 길이 곧 나를 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갑(甲)의 행세를 하려고 하는 자들이여! 을(乙)에 속하여 울분을 터뜨리는 백성들이 그대들을 어찌 보고 있는지 뒤를 돌아다보고 민심에 귀 기울이기 바란다. 그대들을 위한 충고인 것이다.

김용복 / 극작가, 칼럼니스트

김용복-1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공사장 관리부실 대전 도마동 골목 물바다…공사장 물막이둑 터져
  2. [부고]강연복 힐스포레 대표 별세
  3. 세종서 미용 실습견 수십마리 구조… '관리 사각' 대책 절실
  4. 국립정원문화원, 담양서 개원...'K-정원도시' 시너지 기대
  5. [현장취재]백소회에서 남성현 국민대 석좌교수(전 산림청장) 기후위기와 산림 주제로 특강
  1. [사이언스칼럼] 새로운 빛공해 기준이 필요한 이유
  2. 고교학점제 어디로 가나… 개선 방안 브리핑 연기·폐지 목소리는 계속
  3. 대전 지하철 부정승차 2배 늘어… 청소년이 대부분
  4. 충청권 40년 지난 노후 학교 20% 차지… 건물 D등급 학교는 41곳
  5. '에듀테크'로 앞서다…대전옥계초 미래인재 양성 위한 혁신 교육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교 5곳중 1곳, 40년 이상된 ‘노후 학교’

충청권 학교 5곳중 1곳, 40년 이상된 ‘노후 학교’

충청 지역 학교 9000여 곳 가운데, 지어진 지 40년이 지난 노후 학교는 약 1900곳으로 전체 중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 안전 진단에서 고위험 수준인 D등급을 받은 학교는 41곳, 화재에 취약한 교육시설도 356곳에 달했으나, 안전 점검이 부실한 곳은 200여 곳이 넘었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전국 시·도 교육청에 전달받은 '경과년수 별 학교건축물 현황' 등 교육시설 안전 진단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기준 건립된 지 40년 이상 지난 충청권 학교는 9287곳 중 1967곳으로 조..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리얼 야구 예능 '불꽃야구'가 대전 한밭야구장(대전 FIGHTERS PARK)에서 21일 오후 5시 직관 경기를 갖는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한밭야구장을 불꽃야구 촬영·경기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한 협약 이후 시민에게 개방되는 첫 무대다. '불꽃야구'는 레전드 선수들이 꾸린 '불꽃 파이터즈'와 전국 최강 고교야구팀의 맞대결이라는 예능·스포츠 융합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경기는 수원 유신고와 경기를 갖는다. 유신고는 2025년 황금사자기 준우승, 봉황대기 4강에 오른 강호로, 현역 못지않은 전직 프로선수들과의..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충청권 경제 단체들이 추석을 앞두고 대전지역 전통시장을 찾았다. 내수 침체로 활력을 잃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다. 특히 이번 캠페인에는 이상천 대전세종중소벤처기업청장이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민생현장을 찾아 눈길을 끌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회장 정태희)는 지난 17일 오전 대전 서구 한민시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천 중기청장을 비롯해 정태희 회장(대전상의 회장), 김석규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송현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대한민국 명장·장인 작품 다 모였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