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세종연구원이 대전세종청주 대도시권 비전과 과제를 점검하는 상생포럼을 개최했다. |
이 연구위원은 “대도시권은 국토의 31.1%에 불과하지만, 전국인구의 79%가 거주하고 일자리의 80%가 몰려 있는 핵심공간이자 미래 불확실성이 큰 지역”이라며 “경인·부산울산·대구·광주·대전세종대도시권이 서로 다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이 도출한 대전·세종대도시권 확산시나리오에서는 지자체간 경쟁관계가 지속되고 산업경쟁력이 강화되지만 개별 지자체 단위의 경쟁력 극대화를 모색하면서 신규 인프라 투자부담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도시권과 국토 전체 차원의 고려가 미흡하고 직장과 주거공간의 분리되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확산시나리오가 대전-세종-청주의 현재 발전모습과 가장 유사하나 앞으로는 오히려 대도시권의 의미와 구분이 무의미해지는 융해와 응축시나리오로 나아가야한다고 제안했다.
융해시나리오에서는 앞으로 4차산업혁명 등 기술발달 영향으로 물리적 거리 중요성이 약화될 것으로 이를 준비한 온-오프라인 연계 공간구조 형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응축시나리오에서는 지자체간 협의에 의한 선택적 집중으로 대전-세종-청주 삼각트라이앵글이 국토발전의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지식기반제조업 일자리 증가하는 미래상이 전망됐다.
이 연구위원은 “응축시나리오의 발전상을 이끌기 위해 대도시권 광역행정제도나 협력기구가 설치돼야 하고 대도시권 내 지자체간 협력을 유도할 재정적 유인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대로 세종시가 신흥중심지로 성장하면서 대전 및 청주도심 재생이 더디게 진행되거나 세 지역 삼각트라이앵글 연계가 약화되는 경우를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쇠퇴시나리오로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대전은 기초연구 및 개발, 세종은 중앙행정 및 교류 그리고 청주는 바이오산업으로 400만 이상 대도시권을 형성할 것”이라며 “관련 시군의 광역적 계획계약과 대도시권 성장을 관리할 광역행정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