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입개편 공론화 원점으로…교육현장 혼란

  • 사회/교육
  • 교육/시험

2022 대입개편 공론화 원점으로…교육현장 혼란

입시전문가 수능 정시확대 전망
고교학점제, 혁신학교 등 영향 불가피… 내신 성적 위주 과목 선택 가능성 커

  • 승인 2018-08-05 11:09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AKR20180804038400004_01_i
중 3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이 3개월의 공론화 과정을 거쳤지만 '결론 없음'으로 마무리 짓게 돼 교육현장의 공분을 사고 있다.

국가교육회의 측은 "대입개편 특위가 공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 권고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7일 교육부에 넘길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3일 2022학년도 대입 입시 개편안을 논의한 국가교육회의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 4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론 조사 결과 수능 위주 정시 전형을 45% 이상으로 확대하자는 1안과 수능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자는 2안이 각각 선호도 1위(52.5%)·2위(48.1%)를 보였다고 밝혔다. 1, 2안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2022학년도 중3 학생들의 대입 개편안 결론은 나오지 않았지만 정시 확대가 예상돼 추후 수능 확대를 둘러싼 후폭풍도 예고되고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혼란만 가중시켰다는 지적과 함께 '고교학점제'와 '혁신 학교' 등 교육정책의 엇박자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이 현재와 같이 수능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수능 비중을 확대할 경우 학생들은 내신 성적을 잘 받기 위한 과목으로 쏠릴 것으로 보여 진로와 적성을 따져 과목을 선택하는 고교학점제 제도 시행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재하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 수석대표 "입시 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적성과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권 확대에 초점을 둔 고교학점제는 사실상 무력화될 공산이 크다"며 "이번 공론화 결과 대입 확대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만큼 수능을 대비하기 위한 과목으로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전의 한 일반고 교사도 "그동안 정시 중심이었던 교육과정을 2015 개정교육과정에 맞게 학생부종합전형 위주로 맞추려고 노력해왔다"며 "수능 전형이 대세가 된다면 교육과정 개편 편제 때 또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3 학생들과 학부모들 역시 혼란스럽다는 입장이다.

수능 중심이 될 경우 특목고 학생,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3 학부모 정모(47)씨는 "1안이 근소한 차이로 가장 앞섰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한다고 해서 조만간 입시에 또 변화가 있을까 봐 걱정"이라며 "아직도 확실한 게 없어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체육회 종목단체 회장 숨진 채 발견돼 경찰 조사중
  2.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3. 대전 특수학교 입학대란에 분교 설립 추진… 성천초 활용은 검토 미흡
  4.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5. 2025 대전 0시 축제 평가회
  1.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2. 공공기관 2차이전 실효성 위해 지역 상생협력 강화해야
  3. 세종시교육청 '학폭 지원단' 뜬다
  4.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
  5.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병원 진료를 위해 배차 신청을 했는데 2시간이 넘게 걸려 진료받기까지 힘들었어요." 대전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을 이용하는 한 시민의 말이다. 대전에서 교통약자 이동지원 대상자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긴 대기시간과 배차 지연, 시스템 문제로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 24일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종합현황에 따르면 8월말 운영 중인 차량은 특별교통수단 116대, 전용임차택시 40대, 바우처택시 230대다. 회원가입 인원은 3만 74명으로 차량은 부족한 상황이다. 시가 매년 특별교통수단과 바우처택시를 증차하고 있지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한국시리즈 마지막 기회 한화이글스, 역전 조건은?
한국시리즈 마지막 기회 한화이글스, 역전 조건은?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와 LG트윈스가 이번 주 대전에서 한국시리즈 직행 티켓을 놓고 혈전을 벌인다. 3게임 차로 다소 불리한 상황이지만 한화가 수성을 노리는 LG를 상대로 짜릿한 반전 승수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KBO에 따르면 24일 오전 기준 프로야구 전체 구단 중 승률 1위 구단은 LG, 2위는 한화다. LG는 83승 3무 51패로 승률 0.619를 달리고 있으며, 한화는 80승 3무 54패로 0.597을 기록하고 있다. 두 구단의 격차는 단 3게임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채 순위 방어를 노리는 건 LG다. 양 팀의 경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 추석맞이 송편·전 나눔 ‘훈훈’ 추석맞이 송편·전 나눔 ‘훈훈’

  •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 유성구 더불어민주당 의원…‘비공개회의 무단 녹취·촬영 사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