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꼰대'의 변명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꼰대'의 변명

김명주 충남대 교수

  • 승인 2019-03-11 10:45
  • 신문게재 2019-03-12 22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명주-충남대-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괜히 가르치려 드는 사람, 청하지도 않은 충고를 늘어놓는 사람, 개인의 일리를 보편진리로 고집하는 사람, 나만의 특수 저울로 다른 사람 모두를 저울질하는 사람, 어딜 가나 그런 사람들과 부딪히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소위 '꼰대'라고 부른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꼰대'다. 젊은이들이 시행착오 없이 꽃길 걷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끊임없이 가르치고 충고한다. 그러나 누구나 겪을 만큼 겪어야 알기 마련이고 삶의 지름길은 별로 없다. 그런데도 가르치려 드니 나는 꼰대다. 게다가 나의 삶은 학문하는 경험에 제한돼, 숨 가쁘게 변화하는 수많은 직종에는 무지하다.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대에 과거 백과사전적 지식인은 이미 불가능해졌고, 이젠 특정 분야의 전문가만 있을 뿐이다. 그래서 전문분야에서 벗어나면 누구나 무지하다. 무지한 자가 이러쿵저러쿵 충고하니 제아무리 진심이라 해도 꼰대는 꼰대다.

이런 꼰대들은 특히 젊은 세대에게 가장 비호감 인간형이다. 더 이상 젊지 않은 나도 꼰대를 싫어한다. 내 안의 '꼰대성'을 싫어하고, 다른 사람들 안에 들어있는 '꼰대성'도 싫어한다. '꼰대성'은 전인격의 한 부분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꼰대성'의 부정적인 측면은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꼰대가 싫은 이유는 여러 가지다. 일단 시대가 변했기 때문이다. 과거에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수는 매우 적었고, 대다수는 교육의 혜택에서 배제되었다. 그래서 지식은 힘이었고, 지식인은 꼰대가 아닌 선생으로 존경받았다. 그런데 지금은 다들 배울 만큼 배운, 모두가 똑똑한 시대가 되었다. 대학진학 연령대 젊은이 중 80%에 육박하는 대다수가 대학에 진학한다. 다들 알 만큼 아는데, 자꾸만 가르치려 드는 꼰대가 달가울 이유가 없다.



교육혜택의 증가와 발맞추어 개인의 자의식도 한결 단단해졌다. 즉, '나'는 '나'다 라는 개체성과 주체성이 뚜렷해졌다는 뜻이다. 뚜렷한 개체성은 양면성이 있다. 소위 주체로서 거듭나 개인의 정체성을 공고히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칫하면 개체들이 제각각 섬으로 고립될 위험도 있다. 그래서 나와 타자 사이 피할 수 없는 줄다리기도 필연적이고, 나를 침해하는 꼰대들의 행진을 막으려는 자기방어도 필연적이다. 후자의 경우, 우리는 꼰대를 극도로 싫어할 수밖에 없다.

오래전에 읽은 어느 논문에서 누군가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포스트모던의 시대는 더는 보편타당한 유일무이한 진리를 설교하는 시대가 아니라, 자신만의 일리를 '증언'하는, '개인적 증언'(personal testimony)의 시대라고 말했다. 개인의 '일리'들이 모여, 어느 정도 보편타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가 없지는 않겠으나, 적어도 나의 '일리'를 '진리'라고 우기는 태도는 확실히 시대착오적이고 꼰대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꼰대성을 경계하는 꼰대가 될 수밖에 없다. 어차피 직업이 그렇기도 하고, 사피엔스는 언제나 선대의 어깨 위에서 출발할 수 있었던 이점 덕에 여기까지 왔으니, 선대의 지식을 전하는 일은 여전히 유효한 까닭이다. 비록 궁극적 진리는 인간의 인식을 넘어 베일에 감춰져 있다 하여도, 어떤 일리가 다른 일리보다 조금은 더 보편적임을 아는 까닭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페미니즘이 "또 다른 타자화"일 뿐이라는 부분적 '일리'를 철석같이 믿고 있는 학생이 있다면 나는 가르쳐야 한다. 페미니즘은 모든 타자화를 비판하는 인간해방의 일환이라고. 학생들이 지닌 '일리'의 지평을 조금씩 넓힐 수 있도록 돕는 것, 그것이 어쨌거나 꼰대의 사명이므로.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