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폐공사 '2019 호랑이 불리온 금메달' 공개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조폐공사 '2019 호랑이 불리온 금메달' 공개

2016년 이후 매년 새로운 디자인 작품 출시
2019개 한정 제작, 선착순 판매

  • 승인 2019-05-20 12:24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호랑이
한국조폐공사가 20일 한국의 호랑이 불리온 시리즈 네번째 작품인 '2019 호랑이 불리온 금메달'을 공개했다. 2019개 한정 수량 제작돼 순금 투자가치에 수집가치를 더했다. 사진=한국조폐공사 제공.
한국조폐공사는 20일 한국의 호랑이 불리온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인 '2019 호랑이 불리온 금메달'을 공개했다.

호랑이 불리온(bullion) 시리즈는 우리 민족의 혼을 상징하는 호랑이를 주제로 한 메달로, 판매가격이 순금 시세에 연동돼 결정된다.

투자가치에 시리즈 메달의 수집가치를 더한 제품으로, 2016년부터 매년 새로운 디자인의 작품이 출시되고 있다.

'2019 호랑이 불리온 금메달'의 앞면은 날카로운 발톱으로 메달을 찢고 밖으로 뛰쳐나오는 듯한 호랑이의 역동적인 모습을 표현했다.



뒷면엔 한글과 한반도를 형상화한 디자인 및 순도를 보증하는 홀마크, 보는 각도에 따라 글자가 변화(Au↔999)하는 잠상 기법을 적용해 위변조를 방지했다.

중량 31.1g, 순도 99.9%로 판매가격은 금 시세와 연동돼 변동된다. 2019개 한정 제작됐고, 전담판매사인 ㈜삼성금거래소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판매한다.

문의사항은 조폐공사와 삼성 금거래소에 전화하면 된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3.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4. 대전시, 통합돌봄시대 준비 본격화
  5. [사설] 공공기관 이전 '희망 고문'은 안 된다
  1.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2. 세종시청 테니스부 존치… '남녀 4명' 축소 운영키로
  3. 한밭수목원'정원 속에 피어난 야생화'축제 열린다
  4. 지식재산처, 아름다운 상표·한글 디자인에 '오네', '윤800체' 선정
  5.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헤드라인 뉴스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목표 설정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대전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재활용시설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