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자체장과 산하기관장 등 공직사회에서 급여 기부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반 공직자들도 적극적인 동참 모습이 절실해서다.
25일 대전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현재 대전시와 동구·중구는 주 1회 구내식당을 휴무하기로 했으며, 대덕구는 3개월간 구내식당 운영을 중단한다. 서구와 유성구는 현재 구내식당 휴무일이 없는 상태다.
대덕구는 지난 19일 구 공무원노조와 협의해 구내식당을 3개월간 운영 중단키로 했다. 이는 소비촉진을 위해 앞장서고 지역경제 살리기 일환으로 도입됐다. 단 민원실, 당직자 등 최소한의 인원인 약 100명은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대덕구는 구 공무원 정원인 692명에서 최소 인원을 제외했을 때 600여 명의 인원이 점심 식사에 8000원씩 소비한다고 가정해, 3달간 약 3억 원의 경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반면, 서구와 유성구는 구내식당 휴무제를 운영하다 3월 들어 취소했다. 이는 위축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구내식당을 전면 중단한 대덕구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구내식당을 운영 중인 자치구들은 공직자들의 감염 우려를 이유로 꼽고 있다. 자치구 한 관계자는 "확진자가 한사람이라도 발생하면 집단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 총선 준비에 차질이 생긴다"며 "이럴 경우를 대비해 우선 구내식당 휴무일을 없애고, 추후 재논의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대전시도 지난 23일 코로나 위기극복 경제회생 및 공동체 회복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구내식당 운영 중단 계획을 내놨다.
이날 시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소상공인의 고통 분담 차원에서 구내식당 운영을 4월 중순부터 한시적으로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기, 방법 등 구체적 내용이 없어 결국 '보여주기식'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시는 매주 금요일마다 구내식당을 열지 않는다. 이를 확대하기로 결정했으나, 시행 시기 등이 전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시 관계자는 "구내식당 운영을 전면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시 노조와 합의해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