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세종-대전간 상생협력을 위한 과제 발굴'에 따르면 세종시는 출범 이후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나, 대전을 비롯해 충남·북 등 인접 충청권 시도의 인구, 산업 유출 문제가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종시 출범 이후 2014년부터 연간 1만 6000명의 대전시 인구가 세종시로 빠져나갔다. 세종 전입자의 이전 거주지가 대전인 사람은 2017년(2만 3707명), 2018년(2만 2180명)에는 각각 2만명을 넘겼다. 지난해 송년 기자회견에서 허태정 대전시장은 "세종시로 이주하는 것은 많이 줄었지만 인구 감소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시장으로서는 곤혹스러운 부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최근 인접한 광역시와 기초지자체를 중심으로 상생협력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다. 대세연은 대전과 세종은 단일생활권으로 상생협력 사업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은 행정수도로서의 국가중추행정기능을, 대전은 과학기술 선도도시 조성을 지향하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풍부하다. 세종과 대전은 2015년 상생협력 협약 이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협력 방안의 검토·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세연은 교육, 도시·시설·교통, 문화·관광 등 총 15개 사업을 도출했다. 교·강사 인력의 공동 활용으로 전문인력 편증 문제 해소를 위한 평생학습 교육연수 프로그램의 통합 관리·운영을 제안했다. 대전-세종 광역철도나 일반철도 세종선, 기존 도로 혼잡을 줄이기 위한 부강역~북대전IC연결도로 등 대안도로건설 등도 제시했다. 대중교통 환승주차장 건설, 광역버스 노선 확대, 통합홍보 마케팅, 자전거 둘레길 유지관리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세종의 교과서박물관, 대통령기록관과 대전의 국립중앙과학관을 연결하는 등 대전-세종 관광 실크로드도 제안했다. 대전의 대표 이응노 화백과 세종 대표 장욱진 화백을 재조명하고 두 화백이 현대미술사에 남긴 가치를 콘텐츠화하는 방안도 나왔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성공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대전-세종 간의 공감대 형성, 기업유치 인센티브 강화, 거점-기능지구 간 연계협의체 구축 필요, 연구개발특구 확대 지정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중증장애인 리프트 전용버스 사업, 자원재활용 시민문화 확산, 민간중심 미세먼지 감시단 운영 등 환경·복지 협력 사업도 제안했다.
지남석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세종과 대전은 통근, 통학 등의 이동이 많다는 점에서 단일 생활권으로 볼 수 있다"면서 "협력사업은 시민의 도시 간 이동 용이와 생활 불편 최소화, 양질의 서비스 공급에 중점을 두고 추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일본의 간사이 광역 연합과 같은 상생·협력 거버넌스 구축 또는 개발사업 단위의 집행 및 관리를 위한 추진체 구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