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온달과 평강공주의 애틋한 사랑의 흔적이 남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온달과 평강공주의 애틋한 사랑의 흔적이 남아

제30회 온달산성(溫達山城 - 단양군 영춘면 하리 성산)

  • 승인 2018-01-2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온달산성앞730
온달산성 앞으로 흐르는 남한강/사진=조영연
단양 영춘에서 구인사길로 접어들어 온달관광단지 주차장에서 하차한 다음 드라마 세트장을 경유 우측 능선으로 약 800m 정도 경사길을 오르면 산성 입구에 다다른다. 소백산맥 시작부 험산을 배후로, 남한강을 앞에 둔 높은 절벽 위에 성은 위치했다. 영춘 방면에서 들어올 때 보면 거센 강줄기 동편 절벽상에 까마득히 우러러 보인다. 험산을 뒤로 하고 전면은 강을 해자로 삼은 천연의 요새다. 동편 태백산에서 내려와 영월을 거쳐 서쪽으로, 다시 남쪽으로 크게 휘어져 충주방면으로 내려가는 한강수로 및 그에 동반하는 육로, 소백산맥을 넘어 강원도와 경상도 동부로 진입하는 육로 등의 길목을 방어하는 것이 주 임무다.

성벽은 성재의 정상부에 두께 5~10㎝, 길이 30~70㎝ 가량의 얄팍한 자연 할석을 중심으로 쐐기돌을 사용하면서 비교적 수평쌓기를 유지했다. 대부분의 성벽은 복원됐으나 20012. 9월 현재 북벽에서 동벽으로 회절되는 북동쪽 능선부에 좌우 붕괴된 가운데 높이 3~4m로 길이 약 5, 6미터가 주변의 붕괴석과 함께 아슬아슬하게 독립적으로 원형이 남았다. 그 부분에서 성벽의 원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원래를 모방해 놓은데 불과하다. 잔존부의 축성 방식과 석재 처리는 삼년산성 등과 유사하다.

현재는 둘레 638m, 높이 동벽 6, 북남 7~8, 서벽 10, 내벽고 2m 정도에 성벽폭 삼사 미터 가량으로 협축으로 복원된 상태다. 성 내부는 북, 동벽 쪽에서 서남으로 약 30도 가량 비스듬한 동고서저의 경사면을 이용해서 그 주위를 둘렀으며 성 안은 정상인 동, 북문지 근처로부터 서서히 낮아지다가 중간 아래 즉 남, 서문지 근처에 이르면 거의 평탄하다. 내벽으로 사방이 둘러싸인 성내는 마치 배의 바닥처럼 움푹 들어가 성에 들어가기 전 문밖에서 느낀 웅장함보다는 시골 마을 같은 아늑함이 느껴진다. 이 부분은 과거 경작지로 활용되다가 정비되었다. 북벽에서 동벽 연결부와 서벽과 남벽 연결부는 약간 길게 밖으로 돌출되고 북문지 좌측과 서문지 좌측 모서리는 치 대신 곡성식으로 처리했다.

사방마다 문지가 있으나 동문지 자리는 붕괴된 석재들 사이에 복원되지 않은 채 남았다. 이 문지는 밖에서 올라오는 능선을 약간 벗어나 우회하도록 조성한 것으로 여겨지는 바 이런 형태는 여러 성들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곡성 처리된 곳 중 서에서 남으로 회절되는 부분은 밖에서 볼 때 15m 정도 이상으로 높고 우람하며 아래서는 까마득히 올려 보이고 위에서는 굽어보기 아찔할 정도다. 서쪽 곡성부에서 남문지에 이르기까지 안쪽으로 둥그스럼하게 굽은 성벽은 비교적 원(原)형 가까운데 남문지에 이르기 전 약간 안쪽으로 만곡된 성벽 하단부에 사각형 수구가 조성됐고 그를 통해 성내의 물을 흘러내리게 했다.



성안의 평탄지에 건물 등 여러 시설들과 더불어 우물이 있었고 수구 안쪽에 집수지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북문 안쪽에 투석용으로 보이는 강돌 무더기가 있으며 과거 성내에서 백제, 고구려계 등 삼국시대 토기편들이 나왔다는 점은 삼국 각축장으로 여러 나라들이 관여됐음을 암시한다.

온달산성전경730
온달산성 전경/사진=조영연
계립령, 죽령 방면 개척의 꿈을 세웠던 온달이 이곳에서 꿈을 이루지 못한 채 한을 안고 죽어 아내가 와서 달래고서야 떠났다는 전설적 기록이 전하지만 온달의 사지가 아차산성이라는 설도 있어 처음에 온달이 쌓고 남진기지로 삼으려 했는지는 의문으로 남았다. 산성의 위치상 여건으로는 남진하는 적을 방어하기에 적합하여 적성산성 등과 더불어 신라의 북진 전초기지로 활용했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평소에는 더없이 맑았을 터이지만 필자가 방문한 계절은 한여름 큰비 끝이라서 시뻘건 강물이 성 밑을 도도히 흐르고 있어 함성과 함께 핏발에 뒤섞인 수십 길 절벽 위에서의 치열한 산성전을 다시금 떠오르게 한다. 잡초 무성한 성안에는 마타리, 산부추, 강아지풀을 위시하여 온갖 잡초들만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무심히 바람결에 출렁인다. 북벽에 우뚝 선 몇 그루 소나무들만 말없이 내려다본다.

푸른 소나무 사이로 흘러가는 강줄기와 멀리 영월, 제천 방면 산 너머로 사라지는 길들이 영춘나루 건너편으로 이스라하다. 서벽 아래 관광단지의 화려한 옛 궁궐 모습이 고즈넉한 산성과는 좀 어울리지 않는다. 안에 들어가면 공주를 만날 수 있을까?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