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 성왕은 왜 죽음의 땅 '구진베루'로 향했을까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 성왕은 왜 죽음의 땅 '구진베루'로 향했을까

제43회 구천(狗川)과 구타모라새(久陀毛羅塞)

  • 승인 2018-04-2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구진베루
구진베루/사진=조영연
사서 속의 구타모라새, 구천(狗川) 등의 어원 파악을 통해서 '42회 관산성 아래 구천(狗川)에서의 비극' 편에서 소개했던 당시의 상황을 천착해 본다.

구진베루의 '狗川'은 고유어 '궂은(厄)내'의 발음상 유사 한자 표기인 바, 구진베루는 '궂은(구진:액=厄)+베루(고대 국어 '별=벼랑, 물가의 낭떠러지崖)간 합성어로 좋지 못한 일이 전개됐던 전설의 현장으로 전자의 설에 무게를 둔다(신라?백제 격전지 관산성 지표조사보고서.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2003). 필자는 내용면에서는 그 견해에 동조하면서 한자 '구(狗)'의 발음과 갈음될 가능성이 있는 고유어 '개'의 발음 속에 '내(川)'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살펴보고 싶다. 우리말에서 내(川)를 개울이라 한다. 개울은 갯골(갯굴, 갱골)에서 ㄱ탈락형으로 볼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갯골'이란 이름이 곳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내(川=개울)가 있는 골짜기'라는 의미인 보통명사로 '갯골(실제 발음은 개꼴)'이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 경우도 구진베루 전설과도 연결된다.

실제로 현지를 답사해 보면 구진베루는 양편 바위산들 사이에 구불구불하고 큰 S자형 시내가 있으며 무중동과 삼성산(관산)간에 위치한 구릉지대와 개울 등 매복의 조건을 충분히 갖춰져 현재도 그 가까이에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군부대가 숲속에 감춰져 있다. 성왕의 죽음을 불러온 것은 산, 골짜기, 시내 등이 있는 험지에서의 매복이 거의 확실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성왕이 왜 하필 구진베루를 통과하려했는지 의문시된다. 그것은 성왕이 무중동이나 군서 성치산성은 다수의 군사 주둔지를 배경으로 왕이 대기하기에 충분한 곳이었기에 거기서 구진베루를 건너 구타모리새로 가고자 한 것이다.

일본서기(日本書紀) 19권 흠명기(欽明記) 15년 조에는 이때의 일을 일찍이 신라의 땅에 깊숙이 들어가 구타모라새(久陀牟羅塞)를 쌓고 오랜 동안 고생을 하고 있는 아들 여창(餘昌)을 만나 위로해 주러 보기 오십(步騎五十. '五千'의 오기?)을 이끌고 인근 백제 진영으로부터 출발했다가 도도(都刀)의 복병에 걸려 죽음을 맞는 것으로 전하고 있다. 두 장소의 거리가 1,2km 정도로 아주 가깝고 낮은 구릉지대여서 주둔지로부터 소규모의 병사만 대동하고 비교적 안심하고 갔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들이 있는 곳과 무중동 사이는 이미 점령지였기에 안도감에 젖어 방심하고 병사 50명만 대동한 것이다. 그렇게 근접한 거리임에도 구진베루에는 의외로 상당히 은폐할 장소가 있다. 노고성·무중동에서 출발한 성왕 일행이 멀지 않은 관산성(혹은 서산성) 인근 구타모라새를 향해 안심하고 구진베루 개울 근처를 지나가다가 지리를 잘 파악한 적(간자)에게 매복을 당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삼성산
삼성산 전경/사진=조영연
이 기록에서 또 한 가지 생각해 볼 일은 '구타모라새'의 표기와 삼성산성 일대와의 연관성 문제다. 이 말은 '구타모라+새(塞는 성 혹은 군 주둔지)'의 합성어인 바 '구타모라'라는 발음은 우리말을 일본인의 입장에서 음차한 것으로 여겨져 '굿터(삼국시대 굿드레, 일본의 구다라 등에서도 '굿'이란 말이 사용됨)+??'(?, 모루)로 굿당이 있는 마을을 의미한다. 그렇게 우리나라 지명을 자기나라 말로 음차한 굿당은 성황당과 관련이 있으며 '굿터말'은 굿당말 즉'서낭당(성황당)마을','서낭당 있는 마을'로 연결된다. 굿터말일본인들의 귀로 들은 바를 구따모라(久陀牟羅)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실제로 몇 사람의 일본인들에게 발음시켜 본 결과 비슷했으며 역으로 우리나라 '굿터(당)??' 발음과 일본인들의 청취 정도를 질문해 보아도 久陀牟羅의 일본식 발음과 유사하다는 반응이었다. 따라서 '굿터(당)마을의 성 즉 성황당 있는 성'이라는 이름을 찾아낼 수 있다. 이것을 현재 재건산(삼성산)과 서산성 사이에 위치한 성을 성황당 산성이라는 명칭과 일치시킨다면 구타모라새는 삼성산 혹은 서산성이고, 삼성산성은 공격대상인 관산성이라고 할 수 있게 되어 구진베루설과도 들어맞는다. 성황당은 삼성산 내 혹은 삼성산과 서산성 사이 고개에 있었을 것이다. 성황당은 세종실록지리지의 '在郡西四里 혹은 五里인 두 성 사이에 있었던 것이다. 성황당산성이 서산성이냐 혹은 성황당석성이냐 혼동하는 것도 두 성 사이 고개에 있던 성황당을 어느쪽으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근처의 성을 차지하여 지키고 있던 아들을 만나기 위해 서쪽 어느 지점(무중동?노고산성이든지)을 출발해서 가까운 거리였기 때문에 안심하고 보기 50명만으로 성에 가려다 매복에 걸렸다는 이야기도 꾸며 볼 수 있다. 무중동에서 삼성산성 사이는 불과 1km 정도에 불과하며 무중동은 백제군 주둔 전설이 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