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대전시가 발표한 '2018년 대전시 독거노인 등록 통계' 결과에 따르면 대전시 독거노인 인구는 4만 3923명으로 대전 전체 인구의 2.9%이며, 2015년 대비 18.6% 증가했다.
가속화되는 고령화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시가 조사한 '2018년 대전광역시 독거노인 등록 통계'는 2018년 6월 30일 기준 주민등록상 만65세 이상 1인 세대를 대상으로 재산세·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 자료 등 11종의 행정·사법자료를 연계 및 분석하는 방식(저예산·고효율 통계생산방식)으로 작성됐으며, 독거노인의 인구, 복지, 경제능력, 건강상태 4개 부문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통계 결과 최근 2년간 타지역에서 전입한 독거노인은 1808명, 그 중 충청도에서 전입한 입구가 634명(35.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세종에서는 138명(7.6%) 전입했다. 주된 전입사유로는 주택(48.6%), 가족(11.1%), 직업(10.9%)순이다.
독거노인(가족여부 확인불가자 제외) 4만3018명 중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은 3707명(8.6%), 가족이 있는 독거노인은 3만 9311명(91.4%)이다.
노인복지시설 입소자는 1246명(2.8%)이고, 노인복지시설 입소자를 뺀 장기요양기관 이용자는 928명(2.1%)으로 조사됐다. 장애인등록 인구는 7586명(17.3%)이고, 그 중 2718명(35.8%)은 장애수당 수급자, 912명(12.0%)은 장애인연금 수급자다. 실질적 독거노인 3707명 중 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복지시설입소 등의 주요적인 복지를 수급하고 있는 자는 3211명(86.6%)이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8369명(19.1%)이며, 그 중 생계급여를 받는 사람은 7742명, 주거급여를 받는 사람은 7661명, 의료급여를 받는 사람은 8256명이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3만 3312명(75.8%)이고, 1인당 월평균 수급비는 12만 3443원이다.
독거노인 중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4만 5290명(외국인포함)이며 이중 의료이용자는 4만 4499명(98.3%)이다.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중 주요 5대 노인질병 진료비율은 76.4%(3만 4606명)로 2015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고, 주요 4대 중증질환 진료비율은 28.6%(1만 2961명)로 2015년대비 1.3%포인트 증가했다. 의료이용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25만 8000원으로 2015년(21만 4000원)대비 20.6% 증가함.
대전시 관계자는 "독거노인 통계는 앞으로 점차 가속화되는 고령화시대에 대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이며, 또한 노년 1인가구의 현황을 파악해 고독사, 사회적 고립 등의 문제에 대응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에도 현시대적인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보완하여 2년 주기로 공표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자료는 내년 초 대전의통계 홈페이지(http://www.daejeon.go.kr/sta/index.do)를 통해 전자책(e-book)으로 서비스 할 예정이다. 이상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