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밀폐된 공간은 집단감염의 우려가 큰 장소인데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에도 불구하고 문을 연 일부 클럽 등 유흥업소에는 사람들이 줄 서서 몰려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 총리는 이틀 앞으로 다가온 중·고등학교 3학년생의 온라인 개학과 관련해 "가보지 않은 길이라 시행착오를 피할 수야 없겠지만 그래도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점검, 또 점검하고 긴장해야 하겠다"고 강조하면서 "차질이 없도록 해달라"고 화상 연결로 회의에 참여한 전국 시·도교육감에게 당부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고심 끝에 전면 도입하는 원격수업은 코로나19와의 전투 중에 시도하는 또 하나의 담대한 도전으로 많은 우려가 있으나 모두의 노력이 뒷받침되면 오히려 학생 간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미래 교육 혁신의 출발점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문제점과 애로사항은 국민께 솔직히 말씀드리고 모두의 지혜를 모아 해결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정 총리는 온라인 개학에 대비해 열악한 환경의 학생을 위한 스마트 기기 제공과 통신비 지원 등 대기업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기부쇄도에 대해 "물심양면으로 큰 힘이 되고 있다"며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 많은 나라에서 우리의 코로나19 진단검사키트 지원을 요청하는 것과 관련 "정부가 과감하게 승인하지 않았다면 아직도 심사 중에 있었을 제품들"이라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기초역량을 확보한 우리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이 위기 상황에서 규제의 장막을 걷고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세종=이승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