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7월부터 시작된 한 달여 동안의 고온다습한 날씨는 농작물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일조시간 부족으로 광합성은 감소하고 작물호흡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식물체 양분 감소를 초래해 전체적인 생육 불량으로 이어져 과실 당도도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비 온 뒤 농작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농가는 우선 배수가 불량한 농경지는 고랑 및 배수로를 정비해 습해와 토양 병해의 확산을 미리 차단해야 한다.
또 장마기에 많이 발생하는 도열병, 탄저병 등 적용약제를 적기에 살포해 2차 피해를 막아야 한다.
침수된 논은 잎 끝많이라도 물 위로 나올 수 있도록 빠르게 물을 빼주고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을 제거해야 한다.
밭작물은 쓰러진 농작물을 세워주고 지주대와 두둑을 정비해야 한다.
과수는 강풍과 비바람에 의해 찢어진 가지를 잘라낸 후 적용약제를 발라주거나 뿌려주고 쓰러진 나무는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보조 지주를 설치해야 한다.
가축은 축사를 충분히 환기시키고 분뇨를 수시로 제거해 청결하게 관리해야 하며,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섭취하지 않도록 해 고창증 등 대사성 질병 예방에도 주의해야 한다.
이상찬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올 여름 긴 장마가 8월 중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농작물 침수 대비와 농업인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비 온 뒤 농작물 관리에 철저를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청주=오상우 기자 osws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