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제공 |
지역 정치인들은 명절 때마다 다중집합장소에서 귀성인사는 물론 추석밥상머리 민심을 청취하기 위해 주민접촉을 늘려왔는데 감염병 위기가 불어닥친 올해엔 대면 접촉이 부담되는 만큼 비대면으로 하거나 대폭 축소하고 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당 당무를 화상 회의 등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현 기조 유지 방침을 밝혔다. 추석이라고 해서 갑작스레 시민들과 접촉을 늘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시당은 대신 비대면 방식의 명절 메시지를 준비 중이다. 시당 관계자는 "추석 대이동에 대한 질병관리본부 측의 걱정도 있는 만큼 현장에 나가 있는 것도 민폐일 수 있으므로 귀향 행사에 관한 비대면 행사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도 비슷한 상황이다. 추석 귀성인사와 관련한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하진 않았지만 예년에 명절 시기에 진행했던 대면 행사 대부분을 축소할 생각이다.
시당 관계자는 "조심스러운 시기인 만큼 비대면 행사 진행 등 방법론적인 고려를 논의 중이다"라고 전했다.
매년 명절 때마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에서 하는 귀향 행사는 대전역이나 터미널 등 다수의 귀향객이 몰리는 현장에서 진행하는 것이 그동안의 관례였다.
뿐만 아니라 명절 연휴 동안에는 여야 의원들이 모두 지역구에 머물며 민심을 청취한다. 동네 노인정을 방문하거나 소외된 이웃을 찾아 온정의 손길을 전하면서 국민들의 살림살이를 챙기는 것도 정치권의 명절 통과의례였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이같은 정치권 풍속도를 송두리째 바꿨다. 방역당국은 아직 1일 확진자 숫자가 세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 점을 고려 추석 연휴 기간 고향에 내려가는 것을 자제해 달라고 국민에 읍소할 정도다. 특히 코로나 19 확진 시 중증 이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고령층에 대해선 노인복지관, 요양병원 등의 방문도 자제해달라고 신신당부하고 있다.
이런 탓에 정치권이 그동안 관례를 내세워 지역구에서 대면 접촉 활동을 할 수 없는 노릇인 것이다. 충청권 여야 의원들도 이번 추석 때 대민 접촉이 많은 행사 참석은 가급적 피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 일각에선 고육지책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명절인사를 하는 아이디어를 짜기 분주하다.
정의당 김윤기 대전시당 위원장은 "정부에서도 이동을 자제해달라고 하는 요청이 있는 만큼 현장에 나가서 인사드리기 어려울 것 같다"며 "유튜브나 SNS를 통해 지역 시민들께 인사드리고 다만 그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제살리기 캠페인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