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인구 147만 무너졌다...주요 원인에 세종으로의 인구유출 꼽혀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인구 147만 무너졌다...주요 원인에 세종으로의 인구유출 꼽혀

2016년(151만4370명)에 비해 4만5000명 이상 감소
세종으로의 인구유출 가장 많아...중기부 다시 '눈쌀'
대전시 "장기적인 접근 통해 인구유출 대책 수립할 것"

  • 승인 2020-11-10 17:00
  • 신문게재 2020-11-11 1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2020110801000727900027831
중소벤처기업부가 있는 정부대전청사  사진=중도일보DB
대전 인구가 147만 명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3년 전만 해도 150만 명을 넘겼는 데 매년 1만 명 이상 인구가 줄어들면서 급기야 올 들어 147만 명 선도 깨진 것이다.

세종시 건설, 저출산, 1인 가구 증가 등 시대적·사회적 트렌드 변화가 주요 원인인데 중기부와 그 산하기관 세종이전이 가시화 될 경우 인구 감소 현상을 더욱 부채질 할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0일 대전시의회가 집행부로부터 받은 '2020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으로 대전지역 총인구는 146만 9099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5771명 감소한 수치로, 151만 4370명의 인구로 나타난 2016년에 비해 지난 5년간 대전지역 총인구가 4만5271명씩이나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를 제외한 30대부터 50대까지 전부 작년에 비해 감소 추세를 보였다.

지역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3~50대가 지역을 빠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주요한 원인 중에 하나로 세종으로의 인구유출도 꼽히고 있다.

지역별로는 세종으로의 유출이 대전 인구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2018년 대전에서 서울 및 경기로 전출한 인구는 각각 1만4221명, 1만 5399명에 비해 세종으로의 전출인구는 2만 2180으로 나타났다.

2019년의 경우에도 서울, 경기로의 전출인구는 각각 1만4725명, 1만6320명에 비해 세종으로의 전출 인구는 2만 314명으로 나타나 매년 세종으로의 인구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대전시 기획조정실 관계자는 "그동안 지역 인구의 감소는 세종시 발족 이후에 지속적인 현상으로 드러나고 있고, 그 외에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청년층 인구가 많은 부분을 포함해 복합적인 요인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며 지역 인구감소의 요인을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지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중기부의 세종 이전이 현실화 될 경우 대전 인구 감소 추세를 더욱 가파르게 할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중기부 근무 인력만 450명에 달하고 산하기관까지 합칠 경우 더욱 늘어나는 데 이 가운데 일부만 세종으로 이전한다고 가정해도 대전에는 큰 타격이 되는 것이다. 우려가 현실화 되지 않도록 하는 행정당국의 효율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전시 균형발전담당 관계자는 "청년이나 1인 가구 등 지역 내 모든 인구의 삶의 질이 나아지는 방향을 고민하고 있고, 장기적인 접근을 통해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사실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지만, 정부 차원의 대책뿐만 아니라 지자체만의 특별한 대책으로 인구감소에 대한 정책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산처럼 굳건하게 아이들이 자라기를"
  5.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