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청수 교수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김청수 교수의 논문이 생체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Biomaterials Science/IF.6.18) 저널의 1월호 표지논문으로 채택됐다.
이번 논문은 '성대 내에서 합성되는 클릭화학기반의 수화젤'로 FDA의 승인을 얻은 PEG물질을 액체 상태로 쉽게 주입할 수는 방법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교실 구희범 교수와 함께 기존에 사용하던 칼슘기반 제재의 성대주입 물질의 단점을 보완한 PEG 물질을 개발, 물질의 제작 및 적응증에 관해 특허출원까지 완료했다.
성대 주입물은 마비된 성대에 주입해 성대가 서로 맞닿을 수 있게 해주는 물질로 주입의 용이성, 주입 후의 안정성과 지속기간이 관건이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클릭화학 기반의 물질은 주입 후 성대 내에서 젤 형태로 변환돼 기존 재제의 단점으로 지적된 주입 후 이동이 억제될 수 있으며, 기존 칼슘기반 물질과 비교할 때 조직 내 안정성이 높고 지속기간 또한 길게 나타났다.
한편, 김 교수는 두경부 종양과 음성치료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으로 떠오르는 의학자이다. 음성질환을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 및 재활훈련이 가능한 음성검사 · 치료실을 개소했고, 최신 내시경 장비인 후두 스트로보스코프(LaryngealStroboscope)와 음성분석 장비를 도입했다. 첨단의료를 앞장서 도입함으로써 의료발전에도 노력하고 있다.
김청수 교수는 "성대마비는 성대간 거리가 좁아질 수 없는 상태로 김빠지는 듯한 소리를 내며 심한 경우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기도 한다"며 "이번 연구는 성대마비로 불편을 겪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제의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