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금산군은 지난 해 수해피해 복구를 위해 총 411억원을 투입 복구공사를 진행해 국가 관할 복구 26건을 제외한 494건 중 현재 393개소를 완료한 데 이어 올해 98건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해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집중호우와 용담댐 방류로 인해 금산지역은 공공시설 총 520개소, 사유시설 487ha가 피해를 입었다.
현재 공공시설 피해복구는 520개소 중 389개소에 대한 복구를 완료해 건수 기준으로 75%의 진척율을 보이고 있다.
군은 또 복구 및 자연재해 예방을 위해 총 1474억 원 예산을 투입해 금강(국가하천) 수문자동화, 후곤천 물줄기 복원, 소하천 정비, 재해위험지구정비, 지방하천정비, 호우피해복구 등 사업도 추진 중이다.
피해가 집중됐던 제원 천내리 포평뜰 등 재해예방사업은 하천기본계획 검토와 함께 실시설계 중이다.
군은 공공시설에 대한 복구를 2022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예산 문제로 이송과 처리에 난항을 겪었던 수해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됐다.
금산지역에 대한 국가재난지역 선정 이후 국비 6억 원과 금강유역환경청 예산 1억 원 등 총 7억 원의 쓰레기 처리 관련 예산이 확보됐다.
이후 조달청 긴급공개입찰을 진행해 폐기물 처리업체를 선정하려 했으나 처리업체의 소각로가 포화상태로 입찰이 두 차례 유찰되면서 재공고 끝에 지난해 11월 처리업체가 선정됐다.
수해쓰레기 처리는 전문업체에서 올해 3월 초까지 4개월에 걸쳐 총 2100t을 처리 완료됐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수해로 금산은 많은 피해를 입어 아직도 복구가 추진 중"이라며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해예방을 위한 사업에도 총력을 다하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피해보상을 받지 못한 사유재산피해 배상에 대해서는 피해 지자체 4군의 군수와 의장으로 구성된 범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자원공사 본사 및 환경부 방문, 용담댐 방류피해 원인조사 및 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 건의 등을 진행해 주민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배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금산=송오용 기자 ccmso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