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시민연대는 경기도 광주시는 수도권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각종 중첩규제들이 묶여 도시 전반이 낙후되고 난개발이 기승속에서도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오히려 난개발을 부추겨 기형적인 도시로 전략했다.
누구도 광주로 오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지난 25년 동안 팔당상수원으로 인한 피해지역 7개 시·군에서는 주민들이 앞장서고 군수·시장·국회의원이 한목소리로 수질개선 운동과 중첩규제의 너울을 한겹한겹 벗겨 현재 광주시는 40만 도시로 변모했다.
그러나 지난 3년 동안 광주시 행정과 광주시민들은 무엇을 했단 말인가? 광주시 행정은 자체적으로 묻지마식 규제를 만들었고 광주시민은 수질개선을 위해 무엇을 했는가? 물었다.
이어 규제개선과 수질개선 없이는 40만 광주시민이 염원하는 광주시 발전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고, 최근 LH사건으로 온 국민이 상대적 박탈감과 분노로 정부를 신뢰할 수 없는 불신이 팽배한 이 시점에 광주시 임종성 국회의원의 누나와 보좌관 출신 이명동 경기도의원 부인의 땅 투기 의혹은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다.
이로인해 여러 지자체에서는 TF팀을 구성해 공무원들과 정치인들의 땅 투기에 대해 조사를 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는 감싸기식의 행정으로 밖에 보여지지 않는다.
현재 공원일몰제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40만 광주시민의 숙원사업이다. 그러나 납득할 수 없는 상황으로 사업이 표류하고 2차 공원사업 또한 공정하지 못한듯한 행정과 각종 의혹으로 인해 고소 고발로 사업이 성사되지 않을까 시민들은 불안감으로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각종 언론 매체로 다시금 광주시가 비리의 온상으로 소환되고 있는 현실을 누가 책임져야 할까? 그로 인한 광주시의 명예훼손은 누가 책임져야 할까? 불명예스러웠던 지난 광주를 절대로 재소환 되서는 안된다.
이에 임종성 국회의원과 신동헌 광주시장은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도록 명명백백 40만 광주시민에게 입장을 밝혀야 한다.
이와관련 경안천시민연대는 " 법을 떠나 광주시민에게 임종성 국회의원은 땅 투기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신동헌 시장은 공원개발 의혹들을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답변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