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칼럼니스트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장, 2025 대전창조미술협회전

  • 사람들
  • 뉴스

중도일보 칼럼니스트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장, 2025 대전창조미술협회전

- 자연과 테크놀로지와의 융합 - 국제적 시각 탐색전 -
1부 전시 2025. 5. 13.(화) ~ 5. 19.(월) 대전서구문화원갤러리
2부 전시 2025. 5. 20.(화) ~ 5. 25.(일) 대전유원갤러리

  • 승인 2025-05-25 23:35
  • 수정 2025-05-26 07:01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4,개막 단체사진-시장님과 함께
2025 대전창조미술협회전 ‘2025 Daejeon Creative Art Association Exhibition’이 ‘자연과 테크놀로지와의 융합 - 국제적 시각 탐색전’으로 펼쳐졌다.

개막식은 5월13일 오후 5시 대전서구문화원 갤러리에서 열렸다.

5,회장 인사말
1부 전시는 5월13일부터 19일까지 대전서구문화원갤러리에서, 2부 전시는 5월20일부터 25일까지 대전유원갤러리에서 열렸다.

중도일보 칼럼니스트인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장은 “제8회 대전창조미술협회 정기전-(자연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을 회원 80여 명과 6개국 외국작가 15명을 모시고 개최했다”며 “이번 작품은 각국의 작가들이 자기들만의 시각과 예술적 철학으로 자연과 테크놀로지의 관계를 탐구하는 전시로 기획 되었다”고 말했다.



6,시장님축사
백향기 회장은 “자연과 테크놀로지는 상반된 듯 보이지만 결국 서로를 보완하고 자극하는 요소”라며 “이 두 요소가 예술을 통해 어떻게 융합하고,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7,전시장 광경
특히 “국내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외국작가 여러분의 뜻깊은 참여로 단순한 전시를 넘어, 시대와 문화, 기술과 감성, 전통과 미래가 만나 만들어내는 예술적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 주는 풍성하고 폭 넓은 교류의 장이 됐다”며 “서로 다른 배경과 문화를 지닌 작가들이 어떻게 공감과 협업을 통해 예술의 보편성과 깊이를 확장해 나가는지를 직접 확인하고 새로운 변화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댔다”고 말했다

9,그림감상
백 회장은 “예술이 단지 미적 즐거움에 그치지 않고, 인류의 삶과 문화를 반영하며 나아가 사회적 담론을 생성하는 힘을 지녔음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자연의 순환과 생명력, 그리고 기술이 지닌 무한한 가능성이 예술 속에서 만나 새로운 시너지와 메시지를 만들어낸다면, 그것은 바로 우리 모두가 함께 꿈꾸는 미래 예술의 모습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clip20250525231100
이지연 작 Warmly
김병진 작     LOVE LOVE LOVE
김병진 작 LOVE LOVE LOVE (1)
Khugjilbayar 작         1
Desire. 50x114cm acrylic on canvas 2021 몽골
1
고문 정장직 작 뢰천대장(雷天大壯)
2
Fred Martin_ the Dreamer_Czech Republic_Summer 2023 프랑스
부회장-윤학상 작          우인회숙
부회장-윤학상 작 우인회숙
1
회장-백향기 작 -내 안의 우주-1 72.7X72.7cm mixed media 2024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4.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