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네 끼 만에 먹은 밥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네 끼 만에 먹은 밥

  • 승인 2021-07-28 13:09
  • 신문게재 2021-07-29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10728_094829884
우난순 기자
일 자로 된 허름한 건물이었다. 처마 아래 낡은 의자에 노파가 몸을 잔뜩 구기고 앉아 졸고 있었다. 한 낮의 땡볕이 너른 마당에 내리 꽂혔다. 적막감이 감돌았다. 이제는 고전이 된 서부영화의 한 장면이 연상됐다. 당장 엔니오 모리코네의 '황야의 무법자' OST가 울려 퍼질 것만 같은 분위기였다. 이쯤에서 징 박은 부츠를 신고 담배를 꼬나문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짠! 하고 나타나야 하는 것 아닌가? 문을 드르륵 열고 안으로 들어갔다. 식탁이 너덧 개쯤 될까. 의자 하나를 빼서 털썩 앉았다. 건너편 식탁에선 막 밥을 먹고 난 한 무리의 장정들이 이쑤시개를 입에 물고 포만감에 나른한 표정으로 잡담을 나눴다. 건설 노동자들인 모양이었다. 그들이 먹은 음식을 쓰윽 훔쳐봤다. 젊은 주인 남자에게 나도 저들이 먹은 걸로 달라고 했다. "종주하셨나 봐요?" 얼굴에 미소를 담뿍 담은 주인이 상냥하게 말을 건넸다. 순간, 맥이 탁 풀리며 하마터면 눈물을 왈칵 쏟을 뻔 했다.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오래 전부터 꿈꿨던 덕유산 종주. 무주구천동에서 경남 함양 영각탐방지원센터까지 1박 2일 코스였다. 설렘을 안고 시작했지만 덕유산은 입산자에게 뜨거운 맛을 보여줬다. 삿갓재대피소를 향한 산길은 끝이 없었다. 봉우리를 넘고 넘는 동안 사람은커녕 개미새끼 한 마리 안보였다. 이글거리는 태양은 불덩어리를 머리 꼭대기에 쏟아부었다. '이래도 안 나가떨어질래?' 폭염과의 사투였다. 빌어먹을 배낭도 한몫 했다. 반값 할인 한다길래 장만했는데 쌀자루처럼 축 늘어져 어깨가 빠질 것처럼 아팠다. 발가락이 부르터 발짝을 떼는 것도 고통이었다. 마오쩌둥과 홍군의 '대장정'이 이랬을까. 대장정은 368일에 이르는 인류 역사에서 믿기 힘든 극한의 행군이었다. 이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험준한 지역을 밤낮없이 걸었다.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군의 계속되는 추격과 폭격, 그리고 허기와 질병에 시달리면서도 혁명의 씨앗을 뿌리는 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에드거 스노는 대장정을 "근대의 그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오디세이"라고 헌사를 붙였다.

따지고 보면 인생 자체가 대장정 아닌가. 고난을 견디고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삶의 여정 말이다. 부드러운 흙길이 있는가 하면 끝없이 이어지는 자갈밭 길을 걸으며 넘어지고 무릎이 깨지기를 수천 번. 그래서 '꽃길만 걷자'는 자기 위안적인 구호같은 수사가 넘쳐나는지 모르겠다. 녹음이 우거진 초여름의 눈부신 빛으로 비추어 보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람의 도리를 저버리는 일, 탐욕에 빠져 허우적대는 인간이 얼마나 미천해 보이는지 모른다. 나라고 다를까. 미욱한 내가 부끄러워서, 욕망의 도가니에서 그악스럽게 아귀다툼을 벌이는 세상이 신물 나 산을 찾는다.

덕유산 종주는 고난의 행군이었다. 상처투성이의 영광이랄까. 햇볕에 그을린 얼굴은 시커멓고 몸은 물먹은 솜처럼 천근만근이었지만 해냈다는 긍지가 하늘을 찔렀다. 그것을 알아준 식당 주인장 앞에서 그만 가슴이 뭉클했던 것이다. 밥이 나왔다. 하얀 쌀밥이 눈부셨다. 이게 얼마만인가. 겉절이, 김, 콩자반, 꽈리고추찜, 오이무침, 생선조림 등 반찬이 다 맛있었다. 김치찌개는 최고였다. 푸욱 곤 사골처럼 진한 국물에 건더기가 흐물거려 씹을 새도 없이 넘어갔다. 정신없이 퍼먹고 밥 한 공기를 또 달래서 먹었다. 땀에 전 몸에서 쉰내가 풀풀 났다(숙소인 삿갓재대피소에선 비누 없이 세수와 발만 씻어야 한다). 꼬질꼬질한 행색이 걸인과 다를 바 없었다. 주인은 반찬도 갖다 주면서 많이 먹으라고 했다. 꿀맛 같은 밥이었다. 남덕유산 아래 함양 서상버스터미널은 요상했다. 버스표도 팔고 밥도 팔았다. 이런 게 시골의 풍경이다. 벌써 3년 전 일이다. 그리움과 함께 침이 고인다.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