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 문화
  • 문화 일반

[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8월 문화관광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 2019년 동월 대비 29.4% 감소
올해 상반기 공연,예매 건수도 절반 가까이 감소해
문화시설, 공연예술 행사 등 수도권 쏠림 현상 나타나
대전,문화소외계층 지원 많지만 문화 다양성 의식 부족

  • 승인 2021-10-18 16:22
  • 수정 2021-10-18 21:3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지역의 문화예술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균형이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로 추진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도권과 지역의 문화 향유 격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문화비지출
그래픽=한세화 기자
▲코로나 19로 지역민 문화생활 감소=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의 문화·관광·콘텐츠 영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충청권의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은 대전 434억 원, 세종 176억 원, 충남 1226억 원, 충북 1187억 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지난 2019년 동월보다 대전은 39.3%(715억 원) 충남 9.9%(1360억 원) 충북 1.1%(1200억 원)각각 감소했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립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세종만 유일하게 5,9%(166억 원)로 증감했다. 전국적으로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3조 3896억 원으로 지난 2019년 동기(4조 7984억 원) 대비 29.4% 감소했다.

데이터-영화
그래픽=한세화 기자
영화 관람 관객 수와 매출액도 줄었다. 지난 9월 넷째 주 지역별 관객 수는 대전은 5만 4563명, 세종 8910명, 충남 5만 2379명, 충북 4만 4214명이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대전 34.2%(8만 2938명), 세종 17.1% (1만 0746명), 충남 33.3% (7만 8585명) 충북 32.7% (6만 5702명) 감소한 수치다.



전국 영화 관람객은 152만 6109명이다. 이는 2019년 동월 대비 38.9%(249만 8737명) 감소한 수치다. 전체 영화 매출액은 149억 9517만 원으로 2019년 동기 대비 24.5%(198억 6372억 원) 감소했다.

데이터-공연수
그래픽=한세화 기자

공연예술 분야도 마찬가지다. 공연예술전산망(KOPI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연 건수는 대전 163건, 세종 12건, 충남 95건, 충북 19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보다 대전 49.5% (324건) 세종 60% (30건) 충남 58.1% (227건) 충북 72% (68건) 감소했다. 예매 수는 대전 3만 1582건, 세종 1831건, 충남 2만 3251건, 충북 8564건이다. 2019년 하반기에 비해 대전은 75%(12만 6508건), 세종 79.4%(8,925건), 충남 76.6%(9만 9389건), 충북 72.4% (3만1101건)으로 대폭 줄었다. 전국적으로도 상반기 전국 공연 건수는 3827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 6747건에 비해 공연 건수가 절반 가까이 줄었으며 예매 수도 올 상반기 256만 3197건으로 2019년 하반기(627만 8463건)보다 59.1%로 반 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수도권 문화 쏠림 현상 여전=지역민들의 문화 활동이 위축된 가운데 수도권과 지역 간 문화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년 문화예술정책백서' 전국 문화기반시설 현황에 따르면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등 전국 문화시설 2825개소 중 수도권(1040개소)에 절반 가까이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399개소, 인천 104개소, 경기 537개소며 이에 반해 대전·세종·충청권은 대전 55개소, 세종 19개소, 충남 166개소, 충북 130개소로 적었다. 대전은 인구수가 비슷한 광주(63개소)보다도 12% 정도 문화시설이 더 적었다.

문화 격차는 '지역 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에 선정된 지역별 행사 수와 지원액에서도 드러난다. 각 지역의 특성화된 공연예술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74개의 문체부 지역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의 경우 수도권이 26개(서울 17개, 인천 1개 경기 8개) 행사를 지원받는 반면, 대전·세종·충청권의 경우 대전 6개, 세종 0개, 충남, 5개, 충북 1개 총 12개의 행사가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이 전체 예산 91억 9500만 원을 지원 가운데 28억 600만 원을 지원받는 반면, 대전, 충청권은 11억 1500만 원에 불과하다.

▲ 문화 다양성 보호 의식은 떨어져=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충청권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부산, 광주, 제주, 경기도, 충북, 익산, 세종 등 13개 시·도가 문화 다양성 조례를 제정한 가운데 대전은 제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2019년에 대전 시의회에서 조례 제정이 시도됐지만, 종교단체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문화예술 교육과 생활 문화 동아리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한다. 지역의 한 문화 정책 전문가는 "문화예술 교육의 지향점은 단순히 특정 장르 기술을 가르치는 게 아닌 문화예술 창작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을 스스로 누릴 수 있는 감수성을 길러내는 것"이라며 "생활문화 또한 기능 중심의 장르 활동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동아리를 만들어 문화 생산자가 되는 마을 공동체 사업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과 생활문화 동아리 활동이 일상화되면 문화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공동체간의 멤버십이 자연히 형성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2년 동안 코로나19 방역으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 동아리나 문화교육 등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며 "공연장 등 문화시설에선 집단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지 않은 만큼 문화시설을 무조건 통제하기보단 안전과 통제 기능을 확보한 공공문화시설은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시도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서구 괴정동서 20대 남성 전 연인 살해 후 도주
  2. [사설] 광역교통사업도 수도권 쏠림인가
  3. 과기계 숙원 'PBS' 드디어 폐지 수순… 연구자들 "족쇄 풀어줘 좋아"
  4. 의대생 복귀 방침에, 지역 의대도 2학기 학사운영 일정 준비
  5.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1.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2. 농식품부 '인공지능 융합 미래 식·의약 첨단바이오 포럼' 개최
  3. '전교생 16명' 세종 연동중, 5-2생활권으로 옮긴다
  4. [대입+] 정원 감소한 의대 수시, 대응 전략은?
  5. [춘하추동]폭염과 열대야,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헤드라인 뉴스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선 과정에서부터 강조한 5극(5개 초광역권) 3특(3개 특별자치도) 등 국가균형발전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공정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모든 문제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겠다"며 갈수록 심각해 지는 수도권 1극체제 극복을 위한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사건으로 교제폭력 특별법 부재, 반의사불벌죄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 한 달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의 폭행에도 처벌을 원치 않았고 경찰의 안전조치 권유도 거절했으나, 그 기저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지만 관련 법 제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 서구 괴정동의 주택가에서 A(20대)씨가 전 연인 B(30대·여성)씨를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세종시 '상가 공실 해소' 칼 뺐다… 업종 확대 등 규제 완화

상가 공실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종시가 상가 허용 업종을 대폭 확대하고, 관광숙박시설 입점 조건을 완화한다.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상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족쇄'를 일부 풀겠다는 전략인데, 전국 최고 수준인 상가공실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도일보 7월 5일 온라인 보도> 세종시는 행복도시 해제지역의 상가공실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상가의 허용업종 확대, 일반상업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입지 허용(총 8필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