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일 대전 호텔ICC에서 열린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주요 내빈이 신년다짐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4일 오후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호텔ICC에서 2022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를 열고 지난 5년간의 성과와 앞으로의 목표를 공유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미래기술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의 성과가 전국 각지로 확산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특구의 혁신거점 역할을 강화하고 특구 내 산학연 혁신 주체 간 그리고 특구 간 초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미래기술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내년 출범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와 관련해서는 "그간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특구 발전 모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며 "혁신적 발전과 변모를 위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출범 50주년 맞이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의 성공적 추진을 강조했다.
허 시장은 "그동안 정부와 협의를 통해 대덕특구 재창조사업 설계를 마쳤고 계획을 하나하나 실천하는 게 우리에게 남은 과제"라며 "50년이 되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재창조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시장은 또 "대한민국의 중심 대전이 과학수도로서의 위상뿐 아니라 디지털전환 시기 혁명적 기술을 선도하는 대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 간사인 조승래 의원은 오늘날을 규정하는 시대 중 하나로 '지방소멸의 시대'가 있다고 언급하며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조 의원은 "과학기술은 기본적으로 수월성 개념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데 자칫 불균형성장을 말할 수 있다"며 "그 점을 각별히 주의하며 접근해야만 지방소멸의 시대에 과학기술이 균형발전을 선도, 촉진할 수 있다. 5개의 연구개발특구와 12개의 강소특구가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든든한 방파제 역할을 해 줄 수 있음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50년은 대한민국 전체가 과학기술 에너지와 힘으로 혁신성장이 용솟음치는 선진국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분투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강병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 이광복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상민 국회의원, 이진숙 충남대 총장, 김장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장(연기협),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장(과출협), 정용래 유성구청장, 박정현 대덕구청장, 김용래 특허청장 등이 참석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