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만난 사람]사재동 충남대 명예교수 인터뷰

  • 사람들
  • 뉴스

[현장에서 만난 사람]사재동 충남대 명예교수 인터뷰

구순 기념 사재동 장편소설 <훈민정음> 출판기념회 열다

  • 승인 2023-04-10 00:19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681046838884.1131614618
“진정한 민족문화는 훈민정음으로부터 형성되고 전개돼 왔습니다. 제 구순 출판기념회에 와주시고 칭찬해주시고 격려해주시니 정말 행복하고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고전문학의 대가이자 국어학자, 국문학자, 소설가로 우리 지역의 대표적인 원로학자인 사재동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사재동 장편소설 <훈민정음> 출판기념회 현장에서 이렇게 말했다.

8일 낮 12시 중구 대흥동 베니키아호텔 2층에서 열린 사재동 교수의 출판기념회에는 제자들과 가족, 친지들이 참여해 사재동 교수의 구순 맞이 장편소설 <훈민정음> 출판기념회를 축하해줬다. 사재동 교수의 제자 교수들 중 조도현 한밭대 교수의 사회로 정병헌 교수의 개회사, 김진영 교수의 사재동 교수에 대한 업적 소개, 경일남 교수의 저서 헌정에 이어 친지, 제자, 가족들의 꽃다발 증정이 있었다. 이어 이 책을 출판한 오늘의 문학사 리헌석 대표가 장편소설 <훈민정음>에 대해 해설하고, 사재동 교수의 아들인 사성구 공연기획사 사하라자드 대표(중앙대 예술대학 겸임교수)가 참석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최혜진 목원대 교수의 축하공연 해설이 출판기념회를 빛나게 했다.

temp_1681046838900.1131614618
사재동 교수는 “새삼스럽게 훈민정음이 아니었다면, 진정한 우리의 문자생활, 문화활동, 문학·예술은 어쩔뻔 했나, 곰곰이 생각하니 실로 눈물겨운 일”이라며 “이 위대한 훈민정음, 그 창제와 실용 과정을 소설로 쓰는 것이 생동하는 정음문자사, 국문문학사와 예술사를 복원하는 일이라고 확신했다”고 말했다. 사 교수는 “오늘 소중한 인연들이 거의 다 오셔서 축하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하다”며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86학번 제자인 한성일 국장은 제가 칠순 때 펴낸 대하소설 <심청황후전> 기사를 써줬고 구순을 맞아 펴낸 장편소설 <훈민정음> 기사를 써주고 출판기념회 현장을 찾아주니 정말 고맙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사 교수는 “제가 본래 소설가 지망생이었는데 제 저서 중 <훈민정음의 창제와 실용>을 냈을 때 반응이 별로 없어 대중들과 국민들에게 올바른 지식을 심어주고 싶어 이를 바탕으로 소설로 쓰게 됐다”고 밝혔다. 사 교수는 “소설을 탈고하고 나니 경미한 뇌경색이 찾아와 건양대 신경외과, 충남대 재활의학과, 유성 대전재활병원 등에서 백일간 치료하고 지금은 많이 회복된 가운데 걷기 연습 재활치료 중”이라고 말했다.

사 교수는 “지금까지 평생 제 키만큼 되는 높이의 책을 써왔는데 인문학은 행복학이라고 생각한다”며 “정년퇴직하고도 계속 인문학을 연구하고 살아온 것이 행복하다”고 말했다. 또 “학회에서 제 보잘 것 없는 저서, 미숙한 작품을 대단히 높이 평가해주시고 격려해주시고 칭찬해주시니 정말 감사하다”며 “제게 힘이 되고 기쁘다”고 말했다. 사 교수는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만나니 더 반갑다”며 “모든 일들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사 교수는 “돌이켜보면 저와 평생 동안 공부해온 동학들이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는 게 너무나 기쁘고 행복하고 감사한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어문연구학회, 공연문화학회, 판소리학회, 중고제판소리문화보존회, 중도문인협회 등에서 동참해주셔서 더욱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temp_1681046838904.1131614618
한편 사재동 교수는 1935년 세종시 금남면 출생으로 충남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문과학연구소장, 교육대학원장, 인문대학장 등을 역임했다. 어문연구학회, 한국언어문학회, 한국고소설학회, 한국공연문화학회, 한국불교문화학회 회장을 지냈다. 지금은 충남대 명예교수로서 불교문학과 불교예술, 불교 문화 등을 중심으로 집필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교문화의 새로운 전개>,<불교문학과 공연예술>,<한국문학유통사의 연구> 등 19종 20책의 단독저서와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등 10여 종 20책의 편저서, 그리고 <학문생활의 도정> 이 있다. <문학사랑> 신인작품상을 수상하면서 소설가로 등단했고, 대하소설 <심청황후> 1~3, 장편소설 <훈민정음> 등 소설과 수필 작품 7종 11여 책이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물폭탄 피해 속출… 침수·하천범람 등 추가피해 우려

충청권 물폭탄 피해 속출… 침수·하천범람 등 추가피해 우려

17일 밤사이 충남 일대에 폭우가 쏟아진 가운데 마을 침수로 고립됐던 주민이 구조되거나 하천 범람 우려로 대피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학교 건물 침수, 정전 등 시설피해도 다수 발생해 학사일정이 조정되기도 했다. 충남도와 충남소방본부에 따르면, 16일 오후 5시부터 17일 오전 8시 까지 접수된 피해는 1125건이다. 주요 피해 내용으로는 공주 유구읍의 한 마을이 침수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17일 오전 7시 20분께 마을 내 50가구 중 20가구가 침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이 인명구조 활동을 전개했다. 소방은 신고 접수 2시간..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