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상황에 충남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던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에도 부정적 영향이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경찰청은 지난해 7월 전국 공모를 하고 부지 방문 등 검토를 거쳐 두 달 뒤인 9월에 1차 후보지로 충남 아산과 예산, 전북 남원 등 3곳을 선정했다.
아산은 경찰대학, 경찰인재개발원, 수사연구원 등 일명 경찰타운이 조성돼 있고 추후 아산 경찰병원까지 설립되면 경찰기관 집적화로 인한 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예산은 내포신도시 내 충남경찰청, 충남도청 등 행정타운과의 시너지가 강점이다.
남원은 부지매입비용 절감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사실상 수도권과의 거리, 집적화로 인한 강점 등을 고려하면 충남이 최적지라는 게 중론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아산과 남원 모두에 유치를 지원하겠다는 '지역 중복 공약'을 한 상황으로 이번 해수부 이전과 같이 충청지역이 패싱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제2 경찰학교는 단순히 어려운 지역을 위한 기관이 아닌 경찰 인력 양성을 위한 기관인 만큼, 효율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효율을 고려한 정부의 공정한 결정이 필요한 만큼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이 요구된다. 정부가 정치적 판단을 배제하고 공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
아산 국회의원 출신 강훈식 비서실장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충청패싱론'이 확산되고 있는 현재, 이재명 정부의 기조를 그대로 따르기보단 아산지역민, 충청민의 정확한 목소리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대통령이 후보 시절 충청지역 발전을 약속한 것과는 반대의 행보를 보이면서 충청패싱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제2 경찰학교를 해수부 이전 명분과 비슷하게 결정한다면 충청패싱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며 "지방선거가 1년 남은 시점에서 충청 민심이 크게 요동칠 수 있는 만큼, 효율성을 고려한 기관 이전과 충청을 향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내포=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