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비극적 공포와 사회적 정황 '노이즈'

  • 오피니언
  • 김선생의 시네레터

[김선생의 시네레터] 비극적 공포와 사회적 정황 '노이즈'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 승인 2025-07-10 17:05
  • 신문게재 2025-07-11 10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KakaoTalk_20250709_150647649
영화 '노이즈' 포스터.
공포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이 영화는 그걸 예리하게 포착해서 끈질기게 캐들어갑니다. 사람이 사라졌는데 어디로 갔는지, 어떻게 됐는지 모릅니다. 심각하고 예민한 문제일수록 사람들에게는 경원의 대상이 됩니다. 같은 아파트에서 벌어졌고, 이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음에도 재건축과 관련한 경제적 손해에 대한 우려가 더 크고 비정하게 작동합니다.

이 영화가 그러하듯 한국 공포 영화의 많은 경우는 사회적 정황과 관련됩니다. 외국의 공포 영화들이 대체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는 동네가 아니라 외딴 성이나 숲, 섬 등 특별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것과 다릅니다. 역대 한국 최고 영화로 꼽히는 김기덕의 <하녀>(1960)가 끼친 영향이 큽니다. 근대적 도시화 상황 속에 이전에 경험한 적 없는 사회경제적 계층 차이, 비인간화, 관계와 소통의 단절에 따른 소외, 피해의식 등이 공포의 요인이 됩니다.

영화는 근대 건축의 상징과도 같은 아파트와 관련한 이기심, 소외, 트라우마를 다룬다는 점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2023)와 유사한 정황이 있습니다. 젊은 미혼 자매가 겪는 공포라는 점에서 <장화, 홍련>(2003)을 닮았고, 아파트 지하실을 미스터리와 공포의 공간으로 다룬다는 면에서 <플란다스의 개>(2000), 어린아이가 의심스러운 공간을 유심히 들여다보는 장면에서 <살인의 추억>(2003)을 떠올리게 합니다. 정인이 주영을 공격할 때 들고 있는 장도리에서 <올드보이>(2003), 샤워실은 아니지만 세면대의 구멍을 클로즈업한 장면에서는 히치콕의 고전 스릴러 <싸이코>(1960)가 생각납니다.

이 영화는 여러 유명 장면을 영리하게 끌어다 쓰지만 가장 특징적으로는 공포의 심리를 소리와 연관 짓습니다. 아파트 층간 소음이라는 물리적 현상이 어떻게 사람의 심리에 작동하여 피해의식과 혐오, 공격 행동으로 나타나도록 하는지 관객들은 영화 속 인물들과 사건, 내러티브의 진행을 통해 절실하게 경험합니다. 또한 소리와 공포의 심리가 연관되는 상황을 공간과 밀착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마치 일이 벌어지는 그곳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만듭니다.



영화가 보여주는 공포의 근저에 소통의 단절과 관계의 소멸이 있다는 것은 실로 비감한 일입니다. 실상 층간 소음이란 것이 물리적 현상 이전에 인간 존재의 근거라는 점에서 이 영화를 더욱 비극적으로 느끼게 합니다. 그곳에 나와 같은 인간이 살고 있고, 소중한 가족과 삶의 이야기가 있다는 것. 주영이 말미에 이르러 만난 공감의 진실이 큰 슬픔으로 다가옵니다.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5.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1.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2.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3.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4.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