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 '노이즈' 포스터. |
이 영화가 그러하듯 한국 공포 영화의 많은 경우는 사회적 정황과 관련됩니다. 외국의 공포 영화들이 대체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는 동네가 아니라 외딴 성이나 숲, 섬 등 특별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것과 다릅니다. 역대 한국 최고 영화로 꼽히는 김기덕의 <하녀>(1960)가 끼친 영향이 큽니다. 근대적 도시화 상황 속에 이전에 경험한 적 없는 사회경제적 계층 차이, 비인간화, 관계와 소통의 단절에 따른 소외, 피해의식 등이 공포의 요인이 됩니다.
영화는 근대 건축의 상징과도 같은 아파트와 관련한 이기심, 소외, 트라우마를 다룬다는 점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2023)와 유사한 정황이 있습니다. 젊은 미혼 자매가 겪는 공포라는 점에서 <장화, 홍련>(2003)을 닮았고, 아파트 지하실을 미스터리와 공포의 공간으로 다룬다는 면에서 <플란다스의 개>(2000), 어린아이가 의심스러운 공간을 유심히 들여다보는 장면에서 <살인의 추억>(2003)을 떠올리게 합니다. 정인이 주영을 공격할 때 들고 있는 장도리에서 <올드보이>(2003), 샤워실은 아니지만 세면대의 구멍을 클로즈업한 장면에서는 히치콕의 고전 스릴러 <싸이코>(1960)가 생각납니다.
이 영화는 여러 유명 장면을 영리하게 끌어다 쓰지만 가장 특징적으로는 공포의 심리를 소리와 연관 짓습니다. 아파트 층간 소음이라는 물리적 현상이 어떻게 사람의 심리에 작동하여 피해의식과 혐오, 공격 행동으로 나타나도록 하는지 관객들은 영화 속 인물들과 사건, 내러티브의 진행을 통해 절실하게 경험합니다. 또한 소리와 공포의 심리가 연관되는 상황을 공간과 밀착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마치 일이 벌어지는 그곳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만듭니다.
영화가 보여주는 공포의 근저에 소통의 단절과 관계의 소멸이 있다는 것은 실로 비감한 일입니다. 실상 층간 소음이란 것이 물리적 현상 이전에 인간 존재의 근거라는 점에서 이 영화를 더욱 비극적으로 느끼게 합니다. 그곳에 나와 같은 인간이 살고 있고, 소중한 가족과 삶의 이야기가 있다는 것. 주영이 말미에 이르러 만난 공감의 진실이 큰 슬픔으로 다가옵니다.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