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교조 광주지부는 "교육청은 사전·현장·사후 단계별로 교원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고 매뉴얼을 개선하며 보조 인력 지원과 안전교육 이수자 배치, 사고 발생 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현장에서 느끼기에 모두 추상적인 원칙에 그친 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대책을 발표하면서 학교 구성원 의견 수렴 절차를 전혀 거치지 않았다. 일선에 공문으로 안내되지도 않았고 언론 발표를 통해서 대책을 먼저 공유하면서, 현장 교사들이 바뀌는 정책을 뉴스로 먼저 접해야 하는 상황을 초래했다"며 "학교 현장 구성원들의 안전과 직접 연결된 문제를 두고 소통을 등한시하며 언론 보도자료를 앞세우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전교조 광주지부는 발표를 앞둔 하루 전, 세계민주시민교육과와 면담을 통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정리하여, 총 80여 건에 달하는 의견을 제출했다. 이 의견에는 교외 체험학습뿐 아니라 교내 프로그램까지 포함해 2학기까지 지원금 사용 범위를 전면 확대해 달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며 "체험학습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교사가 개인적으로 소명하는 일이 없도록 교육청이 최종 책임지고 지원해 달라는 명확한 약속을 원해 왔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학생·학부모 간 인식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토론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소통 구조를 마련해 달라는 목소리를 높여 왔으나 이 같은 요구는 단 한 줄도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교육청 매뉴얼 곳곳에 '원칙', '불가', '필수'라는 강제적 표현이 남발되며 학교 자율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현장 교사들은 체험학습 운영의 결정권을 온전히 학교에 맡겨야 진정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지만 자율권을 주면 체험학습을 시행하는 학교가 없을 것이라는 교육청 담당자의 발언은 현재 광주교육청이 현장 교사들을 어떤 시선으로 보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월 27일 전달 연수를 진행하고 7월 9일 안전대책을 발표한다는 것은 도저히 상식적이지 않다. 이처럼 현장과의 진정한 소통없이 제시된 안전대책은 교사와 학생이 안심하고 즐겁게 체험학습을 떠날 수 있는 환경을 전혀 보장하지 못한다.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찾지 않으면 교사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할 것"이라며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고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때, 비로소 '현장에 환영받는 교육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