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눈물의 시인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눈물의 시인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5-09-10 16:49
  • 신문게재 2025-09-11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만인산 봉수레미골에서 발원하여 흘러내린 대전천은 머들령 골짜기의 물을 합하여 삼괴동 천주교산내공원묘원을 지난다. 묘원으로 들어가는 대전천 변 길옆에는 벚나무들이 심어있다. 이곳을 통해 들어가 나오는 묘역에는 박용래 시인(1925-1980)과 그의 부인이 함께 잠들어 있다. 시인은 논산 강경에서 태어나 55세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대전의 곳곳인 버드내 기슭, 목척교, 중앙시장 먹자골목 대포 집, 오류동 근처의 선술집, 유성 둘래, 한밭 근교의 술친구를 찾아 끝없이 대전을 순례하면서 눈물을 뿌렸다. 그의 눈물은 변두리 빈터에 붐비는 저녁 눈처럼 소외되고 버림받는 것에 대한 연민의 눈물이었을 것이다.

고은시인의 시집 『거리의 노래』에서는 보문산 까치고개에서 시작한 고은 시인과 박용래 시인의 여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장수바위를 거쳐 황량한 대전천 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박용래는 호주머니 안에/ 담배꽁초 두어 개밖에 없었다/ 고무 신창이 닳아/ 발바닥과 땅이 닿아 친밀했다/ 눈물 흘러 흘러/ 석교동 석교 국민학교 언저리에서/ 샘골 지나 문창다리 지났다/ 물도 썩고/ 썩은 물에 돌멩이 하나 던졌다/ 울던 사람 -중략- 영교(선화교)에서/ 보문고등학교 교장 이재복을 만나/오디빛 오디빛/하는 칭찬받으며 술을 얻어먹었다"-고은의 시 「대전천따라」에서

눈물을 흘리며 대전천 길을 따라 걸었던 시인은 이제 대전천 상류 머들령 길목을 지키는 산신이 되어 대전천을 굽어보고 있다.

박용래 시인은 대전 문학의 상징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광복 이후 지역의 시적 낭만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문인으로 대전 문단에서는 시인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1925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전 생애를 문학에 바친 진정한 시인이다. 그는 '강아지풀'이나 '저녁 눈'처럼 작고 하찮게 보이는 것들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고 한국적인 서정으로 잘 그려내었다.



남은 아지랑이가 홀홀 타오르는 어느 역 구 내 모퉁이 어메는 노오란 아베도 노란 화물에 실려 온 나도사 오요요 강아지 풀. -강아지 풀.

늦은 저녁 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말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저녁 눈.

이는 그가 살았던 주변의 소박한 풍경들과도 잘 어우러진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일상 속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인이다. 그가 떠난 후 1984년에는 보문산 사정공원에 시인의 시비(詩碑)가 세워지기도 했다. 시인은 실제로 대전에서 오랜 생활을 하였다. 그래서 그가 살았던 대전 중구 오류동의 집 청시사 터에 시인의 시(詩)인 '오류동의 동전'이 새겨진 표지석이 2009년에 세워지기도 했다. 이 시는 시인으로서 가난했던 그의 삶을 담고 있는 시이다.

2025년 올해는 박용래 시인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대전문학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전(2025년 8월 13일 ~ 12월 31일)을 비롯해 문학 콘서트, 오룡역 문화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지역에서도 그의 문학적 가치와 대전에서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시인들이 있다. 부여에는 금강의 시인 신동엽 시인이 있고, 섬진강의 시인 김용택, 남한강의 충주에는 목계장터의 신경림 시인, 가까운 옥천에는 향수의 시인 정지용 시인이 있고, 공주에는 풀꽃 시인 나태주 시인이 있다. 우리 지역의 박용래 시인은 대전의 문학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그의 삶과 작품이 대전이라는 지역과 깊이 얽혀 있어서 대전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시인을 넘어선 문화적 상징이자 자부심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