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내 죽음 헛되지 않도록…”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기도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아들·아내 죽음 헛되지 않도록…”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기도

대전·충남 모임서 상황 공유 불합리한 판정규정 이의제기, 피부병 유발 의혹도

  • 승인 2015-11-01 17:27
  • 신문게재 2015-11-02 9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 지난달 30일 대전 서구 시청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과 대전환경운동연합ㆍ보건환경시민센터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을 실시했다.
▲ 지난달 30일 대전 서구 시청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과 대전환경운동연합ㆍ보건환경시민센터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을 실시했다.

“드러나지 않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모르고 지나가는 사람이 없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에서 '유찬 아빠'로 더 알려진 나모(42·대전 서구)씨가 굳은 표정으로 말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대전 서구의 식당에서 대전과 충남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들이 투·간병의 일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들은 “떠난 가족을 그리워하면서 남은 가족들에게 살균제 피해가 어떻게 나타날 지 몰라 평생 짐을 안고 살아가야 한다”며 고통을 호소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주관한 이날 피해자 모임에 참여한 피해자 가족은 '유찬 아빠' 나씨와 지난 5월 아내를 잃은 이모(48)씨다. 생계 문제와 중간에 합의가 끝난 피해자들 때문에 이번 모임 참여자 수는 그리 많지 않았다.

'유찬 아빠' 나씨는 2007년 6월 돌을 갓 지난 유찬이를 저세상으로 떠나보냈다. 당시만 해도 유찬이가 왜 아팠는지 조차 알 수 없었다. '간질성폐질환'으로 투병하면서 약에 의존하다 14개월의 삶을 마감했다. 그는 2011년이 돼서야 유찬이와 증세가 똑같은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유찬이가 떠난 후 시작된 싸움은 현재 진행형이다. 회사를 상대로 한 소송은 최근 들어 관련 재판에 속도가 붙으면서 조금 마음을 놓았지만, 나씨는 남은 가족들을 생각하면 여전히 마음이 무겁다. 가습기 피해로 인한 폐질환 특성상 증세가 언제 어떻게 나타날 지 방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씨는 “엄마 뱃속에서 가습기 살균제 영향을 받은 막내는 2급인데 아내는 다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3급 판정을 받았다”며 “피해자들에게는 평생을 안고 가야 하는 짐인데 등급을 나누는 체계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피해자 가족인 이모(48ㆍ대전 서구)씨는 지난 5월 아내를 잃었다. 입원 치료 중 부종이 빠지면서 쇼크가 왔고 회복이 안돼 일주일 만에 숨을 거뒀다. 이씨의 아내 이모(당시 45세·여)는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가습기를 사용하던 중 실신하고 병원에 이송돼 폐렴 판정을 받았다. 이후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다 결국 생을 마감했다.

이씨는 “두 아들도 마음을 놓을 수 없어 이번 3차 조사를 의뢰했다”며 “큰 아들 아토피가 심한 것도 가습기 살균제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직까지 가습기 살균제와 피부병·심장병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논문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피해자들은 주장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3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모두 105건이 접수됐다.

임효인 기자 hyo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