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이야기] 1930년대 문화해방구 역할한 '다방'

  • 문화
  • 여성/생활

[커피이야기] 1930년대 문화해방구 역할한 '다방'

서울 명동·종로 중심 유행

  • 승인 2016-02-04 16:56
  • 신문게재 2016-02-05 13면
  • 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
바리스타 P의 커피 이야기-(35)

▲ 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
▲ 박종우 바이핸커피 대표
우리나라에서 차의 문헌상 기원은 삼국사기에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신라본기 흥덕왕 편에 '사신대림이 차 종자를 가지고 오니 지리산에 심게 하였다' 는 기록입니다. 고려시대에는 황실을 중심으로 다례가 행해졌고 아예 궁중에 '다방'이라는 관청을 별도로 두었습니다. 다방의 어원은 바로 관청의 이름인 것입니다. 1910년대 일본에서 키사텐(끽다점-차나 음료를 파는 가게) 문화가 들어오게 됩니다. 일본인 나까무라가 진고개(충무로2가)에 나까무라 끽다점을 개업하고, 뒤이어 일본인들이 금강산, 모리나가 등의 끽다점을 개업합니다. 1910년대는 다방의 태동기라 할 수 있겠고, 일본인들이 주로 경영했습니다.

1920년대 명동과 종로를 중심으로 다방이 유행하게 됩니다. 또한 '조선호텔'이 개업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호텔커피숍도 생겨나게 됩니다. 조선호텔은 그 당시 동양에서 최고의 호텔이자 최고급 호텔이었고, 조선호텔에서 커피한잔하고 택시타고 경성을 드라이브하는 것이 최고의 자랑거리였다고 합니다.

1920년대 다방의 유행 못지않게 카페도 유행합니다. 최초의 공식적인 카페는 1914년 '탑동카페'이고 축음기와 레온조명으로 대표되는 카페의 유행은 퇴폐문화를 양산하기도 합니다. 은송정, 엔젤, 피존, 은좌 등 카페는 유흥공간으로 1930년대 100여개가 성업했다고 하며, 카페에 근무하는 여급은 1000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여급은 일본여성이 대부분)

1927년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감독이었던 '이경손'이 종로에 문을 연 '카카듀'는 한국인 최초의 다방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카카듀-프랑스 혁명 때 경찰의 눈을 피해 모이는 비밀아지트인 술집이름의 하나). 1927년 종로 2가 근처에 문을 연 '멕시코다방'은 최초로 끽다점에서 '다방'이라는 명칭을 붙인 최초의 다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화배우 '김용규'가 운영했으며, 이상의 소설 '환시기'에는 멕시코다방에서 커피를 마셨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다방은 1930년대 전성기를 구가하는데 당시 다방을 '거리의 오아시스', '거리의 공원'이라고 했으며, 문화와 문학의 해방구이자, 금시계를 차고 여우목도리를 두른 모던걸과 양복에 중절모를 쓴 모던보이들에게 다방은 모더니즘의 상징이었으며, 주로 영화배우, 문인, 예술가, 유학파 등이 개업했습니다. 1930년대 본아미, 멕시코다방, 낙랑파라를 종로 3대 다방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2. 대전·세종·충남 호우특보 해제…일부 지역 밤까지 강한 비
  3.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4.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5.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1.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2.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3.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4. 한솔제지 "신탄진공장 사망사고 근로자 깊은 애도"
  5.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