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로리가 무서워 팥빙수 대신 ‘과일빙수’…그런데 살은 더 찐다?

  • 문화
  • 건강/의료

칼로리가 무서워 팥빙수 대신 ‘과일빙수’…그런데 살은 더 찐다?

  • 승인 2016-07-19 15:52
  • 연선우 기자연선우 기자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점심 한끼 배불리 먹고 시원한 디저트를 찾아 먹이사냥을 하고 있는 혜정씨. 요즘같이 더운날 얼음빙수는 그야말로 사막의 오아시스같은 존재다. 그러나 칼로리를 떠올리면 부담이 되는건 사실. 혜정씨는 팥이 올려진 빙수는 어쩐지 더 살이 찔 것만 같아 녹차빙수와 과일빙수를 자주 찾고는 한다.

과연 그녀의 생각대로 팥빙수보다 과일빙수의 칼로리가 더 낮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대체적으로 팥빙수보다 과일빙수의 당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컨슈머리서치가 최근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 9곳에서 판매하는 79종의 빙수 영양성분을 조사한 결과 당분이 100g이상 포함된 21종의 빙수 중 팥빙수는 4종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모두 딸기, 메론, 베리, 망고 등이 토핑으로 올라간 과일 빙수들이었다.

▲ 사진=카베페네 홈페이지
▲ 사진=카베페네 홈페이지

그렇다고 팥빙수의 칼로리가 낮다는 것은 아니다. 카페베네 팥빙수는 무려 1059kcal를 자랑한다. 평균적으로 빙수의 칼로리는 평균 700kcal 수준으로 일부제품은 하루 성인 권장 칼로리(2000kcal)의 절반을 넘기도 했다. 조사 중 최악의 칼로리는 카페베네 '초코악마빙수'로 무려 1312kcal였다. 2~3위 역시 카페베네 제품으로 '쿠키앤크림빙수' 1249kcal, '녹차타워빙수' 1146kcal 등이었다. 칼로리가 비교적 낮은 빙수도 있었다. 파리바게트 빙수들은 300kcal대였고, 카페베네 ‘딸기눈꽃빙수’는 444kcal다.

결국 팥빙수는 어떤 재료를 얼마 만큼의 당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칼로리가 결정된다. 설탕으로 절인 과일대신 생과일을, 연유대신 저지방우유를, 아이스크림대신 요거트를 대신한다면 칼로리를 최소 200~300kcal까지 낮출 수 있다.

사실 팥은 열을 식혀주고 혈액순환을 돕는다. 폭염주의가 내려진 오늘처럼 무더운 날, 집에서 칼로리 걱정없는 웰빙 팥빙수를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 /연선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