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 백제 성왕의 아픔이 남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 백제 성왕의 아픔이 남아

제42회 관산성 아래 구천(狗川)에서의 비극

  • 승인 2018-04-2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6세기 무렵 신라는 빈번해진 백제와의 충돌에 상주(上州)를 사벌주에서 감문주(甘文州-김천 부근)로 옮기고 삼년산성을 중간거점으로 삼아 중엽에는 추풍령을 넘어 영동, 옥천 방면으로 진출, 육로와 수로를 확보하면서 서진에 박차를 가한다. 동시에 뒷날 사비 정벌의 루트로 양산(陽山)-금산(錦山) 방면을 개척하기 위해 힘을 썼다. 측근 김흠운 장군까지 보내어 양산 근처 조천성(助川城-대왕성?)에서 벌인 전투(655년)를 보면 알 수 있다. 신라는 백제군의 보복 공격에 삼년산군주 무력의 비장인 도도(都刀)의 군사들과, 가야에서 귀화 단양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한주(漢州-경기도 廣州)에서 크게 활약한 김무력(金武力) 등을 동원하여 관산성 일대에서 백제에 맞섰다.

이런 과정에서 지역 정보에 익숙한 도도는 간첩들을 통해 야간에 사비로부터 온 성왕이 步騎 오십(오천?)의 말을 탄 군사와 함께 관산성의 여창(성왕의 아들)을 만나러 밤에 간다는 첩보에 따라 구천(狗川)에서 매복, 성왕을 사로잡아 죽인 다음 총공격하여 백제군을 대패시켰다(동구의 산성. 동구문화원, 2002 pp165-171). 이 전투에서 백제는 왕과 4명의 좌평,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은 채 여창은 군사 일부와 함께 겨우 탈출했다. 이때 성왕의 출발지를 노고성 밑 무중동(武中洞) 아니면 계현·성치 산성 방면이 아니었을까도 생각된다. 이후 위덕왕(여창) 무렵부터 꾸준히 많은 복수전들이 감행된다.

구진베루와
구진베루와 식장산 아래 무중동 일대/사진=조영연
<성왕 사지(聖王死址)>는 대체적으로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역사 속에 등장하는 현재의 삼성산성을 관산산성으로 보고 지역에 전해 오는 전설에 근거를 둔 구진베루설(역사 기록 속의 狗川)이다(신라,백제 격전지. 지표조사팀. 2003). 다른 하나는 성왕 피살의 장소를 노고성 동편 아래로 보는 설이다. 환산성을 관산성으로 보는 견해(정영호, 백제 고리산성고. 백제문화 7,8호 합집, 1975)를 중심으로 노고산성 북쪽 끝 신라군과 이백리 근처에 '구천'과 통할 수 있는 '갯골'이 있으며 증약들을 사이하고 이백리성과 노고성의 백제군들이 각기 주둔해 싸웠다는 전설에 바탕을 둔 증약 근처설이다(옥천향지. 관성동호회, 1984).

이들 중 구진베루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대전에서 옥천진입 길목 삼양검문소에서 서쪽 37번국도 옥천-금산방면으로 약 1km 정도에 말무덤고개가 있다. 고개 오른쪽 절벽 아래 깊고 유유히 굽이도는 내가 서화천 중 성전천이다. 말무덤고개 아래 S자형 낭떠러지 일대가 성왕의 죽음과 연관된다고 추정되는 구천(狗川) 즉 구진베루다. 이곳은 서쪽 식장산 기슭 무중동(武中洞-오동리)과 삼성산의 중간쯤으로 굽이도는 구진베루는 양쪽에서 교묘히 감춰져 보인다. 무중동과 삼성산은 직선거리로 약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무중동은 노고성과 숯고개산성을 배후로 한 식장산밑의 마을로 백제군 주둔지였다는 전설이 남아 있는 곳이다.

무중동
무중동/사진=조영연
성안
삼성, 서산, 삼양, 구진베루 일대/사진=조영연
삼성산 일대를 역사속 관산성(옥천성)이라고 본다면 무중동에서 여창이 들어가 신라땅 깊숙한 구타모라새 지점까지는 이미 백제군이 점령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상황 속에서 방심하고 보기 오십을 대동하고 아들을 만나러 가던 성왕은 그 중간 지점인 구진베루에서 매복한 적군에 의해 불의의 습격으로 해를 입은 것이다. 도도는 이미 지형이나 성왕의 출동 등 백제측 동태를 간자를 통해서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역으로 이야기 하면 백제군은 첩보전에서 진 것이다. 육이오 전황을 반전시킨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을 연상시킨다. 무중동(노고성)-구진베루-구타모라새(관산성 근처)의 무대에서 발생한 급박한 사건으로 배신한 신라에 대한 백제는 보복은커녕 경국의 대반전을 초래했다.

삼성산과 서산 사이는 원래 낮은 고개였으나 현재는 상당히 낮춰 남북을 연결하는 경부선철도, 경부국도, 고속도로 등 국토의 대동맥이 통과하는 대단히 중대한 교통요지다. 임진왜란, 최근의 6.25 전쟁마다 반드시 점령해야 한 곳이었다. 삼국시대도 미찬가지였기 때문에 삼성산성과 서산성을 양편에 축조해 방어에 이용했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