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동사진관] 다시 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⑨93대전엑스포

[오류동사진관] 다시 보는 충청의 역사적 순간 : ⑨93대전엑스포

제9편 정보통신관, 자원활용관

  • 승인 2021-09-11 14:44
  • 수정 2022-04-29 11:14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20210908010001635_1

 

 

 

 

 

1990년에 발매된 공일오비의 '텅 빈 거리에서'란 노래의 가사 중에 '떨리는 수화기를 들고 너를 사랑해~ 눈물을 흘리며 말해도 아무도 대답하지 않고 야윈 두 손엔 외로운 동전 두 개뿐~'이라는 구절이 있다.

 

정보통신관2
1993년 7월 30일 정보통신관 개관 모습.
Z세대를 제외하고 93대전엑스포를 기억하는 세대는 동전 두 개의 의미를 알 것이다. 지금처럼 휴대전화가 흔하지 않던 90년대의 주요 통신수단은 공중전화였다.

정보통신관
대전엑스포 최대의 전시관이자 인기 전시관이던 정보통신관 전경.
노래가사에 나온 것처럼 90년에는 공중전화 요금이 20원(한 통화 3분 기준)이었지만 93년 엑스포를 치를 당시에는 10원이 올라 한 통화에 30원이었다. 조금만 돌아다니면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설치한 공중전화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던 시절이었다.



정보통신관1
정보통신관 앞에 설치된 위성의 모습.
당시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저력과 획기적인 통신수단을 선보이려고 만든 전시관이 대전엑스포에 있었는데 바로 정보통신관이었다. 박람회장 최대의 전시관이자 인기를 반영하듯 최단기간 100만 관객 돌파 및 362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최다관람 타이틀도 거머쥐었다.

정보통신관3
정보통신관 내부의 모습.
당시로는 최첨단이라 할 수 있는 하이텔 체험시설과 남극 세종과학기지와 연결되는 화상전화까지 설치돼 있었다.



정보통신관6
화상전화 시연을 보이는 도우미.
정보통신관4
당시 미래의 가정집을 꾸민 전시물. 지금은 더 좋아졌거나 이미 모두 현실화됐다.
또한 총길이 405m에 이르는 순환궤도에 설치된 155대의 궤도차가 무한으로 돌아가며 통신발전의 역사를 관람할 수 있었다.

정보통신관5
통신발전의 역사를 관람할 수 있었던 궤도차.
정보통신관7
각종 위성통신 관련된 전시물도 볼 수 있었다.
대전엑스포 폐막 후에도 운영이 유지되다 IMF 이후 적자가 누적되고 관람객도 줄어 운영이 중단됐으며 설치된 전시물이 현실화되며 대중들에게 잊혀졌다.

자원활용관4
1993년 7월 30일 자원활용관 개관식 모습.
자원활용관은 대전엑스포의 주무부서인 당시 상공자원부가 건립한 전시관이다.

자원활용관1
자원활용관 외부 모습.
태양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해 각종 에너지로 활용되는 에너지 코스모스를 비롯해 수력발전의 물이 쏟아지는 모습과 태양전지판이 움직이는 모습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줬다.

자원활용관7
에너지가 생성되는 모습을 보여줬던 자원활용관의 전시물.
자원활용관9
태양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해 각종 에너지로 활용되는 에너지 코스모스의 모습.
자원활용관8
관람객들이 에너지에 대한 생성과 소비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자원활용관2
풍력과 태양광으로 움직이던 솔라가로등.
관람객들이 에너지 절약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물과 에너지 퀴즈 등 다양한 전시물도 준비되어 있었다. 특히 관람객들은 직접 자전거 폐달을 밟아 에너지를 만드는 발전기 등도 몸소 체험해 볼 수 있었다.

자원활용관6
관람객들이 몸소 자전거 폐달을 밟아 에너지를 만드는 체험을 하고 있다.
상설전시관 소개는 이것으로 마무리하고 다음 편은 대전엑스포의 이모저모를 알아보겠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5. '제5회 SDGs 소셜벤처 챔피언십'서 목원대 학생 2팀 수상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