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정착 북한이탈주민 일자리가 제일 고민…"적극적 정착지원 필요"

  • 사회/교육
  • 이슈&화제

대전 정착 북한이탈주민 일자리가 제일 고민…"적극적 정착지원 필요"

대전 정착주민 580여 명, 10년전 소폭 늘어
지자체 지원예산 줄거나 지방비 없이 행사성

  • 승인 2025-07-15 17:30
  • 신문게재 2025-07-16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KakaoTalk_20250715_165148944
북한이탈주민의 대전과 세종 정착을 돕는 하나센터가 대전 동구 판암동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북한을 벗어나 자유의 땅 남한 그중에서 대전에 정착한 주민이 600여 명에 이르고 있으나,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돕는 손길과 정책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고향을 이북에 두고 억센 사투리가 있을 뿐인데 일자리를 좀처럼 나누지 않고 곁을 내주지 않는 지역 정서에 가로막혀 대전을 다시 떠나는 현상도 관측되고 있다.

15일 대전시와 대전세종하나센터에 따르면 대전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580여 명으로 2011년 450명에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남한에 정착한 전체 북한이탈주민이 2만 5000여 명에서 3만 2000여 명으로 증가했는데, 65%가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정착하고 대전에서는 1.8% 남짓 정착한 셈이다. 농업과 산업단지에 일자리가 있는 충남에 1700여 명, 충북 1400여 명이 각각 정착해 생활하고 있다. 지역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 중 70~80%는 여성이고, 대부분 중국을 경유해 남한 사회에 구성원이 되고 있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서는 임대주택을 안내하고 지역적응센터인 대전세종하나센터를 통해 남한 사회 정착에 필요한 일상생활 교육과 지역사회 이해, 진로탐색, 정신건강 예방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은 국가위임사무로 여길뿐 지자체에서는 재정지원을 가장 적은 규모로 축소해 유지하고 있다. 대전시의 2025년도 예산서에 북한이탈주민지원 예산은 4097만 원뿐으로 2011년 4500만 원이었던 것에 비해 오히려 줄었다. 한 구청의 예산서를 보더라도, 국비 2020만 원을 북한이탈주민지역협의회 회의 참석자 수당과 사무용품 구입 비용으로 전부 소진하고 행사성에 그치고 자체 예산은 없다. 또 대전시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를 제정해 북한이탈주민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취업 및 직업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했으나, 지역 내 이탈주민 생활실태에 대한 조사나 전문 연구가 부재한 상태다. 때문에 지역의 북한이탈주민은 생계도 어렵거니와 일자리를 개인 혼자서 구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자신이 선택한 정착지 대전을 떠나 일자리가 있는 곳으로 재이주하는 실정이라는 게 설명이다.

중도일보와 만난 한 탈북이주민은 "남한 사회에 구성원이 되어 처음 정착할 곳을 정할 때 대전을 선택해 이곳에서 시작해도 일자리를 찾지 못해 생계 문제로 다시 이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라며 "대전에 많을 때는 800명에 육박했는데 지금부터라도 많은 관심을 갖고 이웃으로 받아들여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