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20. 자유와 고독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20. 자유와 고독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3-05-25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지난주 대전예술의전당에서 있었던, 피아니스트 김찬양의 독주회에서는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A장조, 드뷔시의 기쁨의 섬, 그리고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 3번이 연주되었습니다. 그런데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 3번 마지막 악장에 음악 암호로 등장하는,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Frei aber Einsam)'는 제 머리를 때렸습니다. 이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는 독일 낭만주의 어구로 쓰였지만, 브람스의 친구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아힘의 좌우명이었습니다. 그런데 브람스는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의 독일어 세 단어의 첫 자인 F.A.E의 음계 파.라.미를 멜로디로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그 말을 자주 사용한 요아힘보다 오히려 브람스를 연상하게 되는 문장이 되었습니다.

브람스는 스승 슈만의 아내 클라라를 연모하며, 평생을 독신으로 산 사람으로 유명합니다. 클라라는 브람스보다 14살 연상입니다. 슈만이 사망한 이후에도 브람스는 클라라를 일방적으로 연모하였고, 클라라가 사망할 때까지 그를 보살폈지요. 브람스는 누구보다도 열정적인 사랑을 알고 있었고, 그 사랑을 평생 갈구하였지만, 클라라에 대한 '일방적인' 사랑을 지켜나갔지요.

사실 브람스는 클라라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한 바도 있지요. 그는 "사랑하는 클라라, 내가 당신을 얼마나 그리워하고, 당신을 위해 헌신하고 싶은지 말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중략) 나는 당신을 '나의 클라라'라고 부르고 싶을 만큼 사랑하고 있습니다."라는 편지를 썼지요. 이런 시기에 슈만이 사망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브람스에게 기회가 온 것으로 생각했지만, 브람스는 오히려 클라라로부터 멀리 떠나고 맙니다.

이러한 클라라에 대한 사랑은 아마도 브람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그것이 주옥같은 명곡을 남기게 된 것 같습니다. 따라서 브람스의 친구인 요아힘의 좌우명인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는 사실상 브람스에게 가장 부합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브람스의 생각이 그의 피아노소나타 3번 5악장에 그대로 녹아있는 것입니다.



저는 연주회 이후 '자유와 고독'이 제 머릿속에서 계속 맴돌았습니다. 그런데 이문재라는 시인은 이미 오래전에 <자유롭지만 고독하게>라는 시를 썼더군요. 이문재 시인은 이 시에서 "여럿이 있을 때 조금 고독하고, 혼자 있을 때 정말 자유롭게"라는 역설적인 표현을 시작으로 "자유롭지만 조금 고독하게/ 그리하여 자유에 지지 않게/ 고독하지만 조금 자유롭게/ 그리하여 고독에 지지 않게"라고 자유와 고독을 정리했습니다.

인간은 자신과 타인 사이에 있는 결코 연결될 수 없는 '간격'이 존재하지요. 홀로 삶을 책임져야 하는 고독, 홀로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는 고독이 숙명적인데, 그 고독이 자신을 자유롭게 한다는 역설도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자유와 고독의 만남이라고 할까요.

그런데 자유와 고독의 만남은 '혼자 걷는 것'에서도 느낄 수 있습니다. 걷는 주체는 나이고 누구로부터도 간섭받지 않습니다.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자유지요. 걷는 것은 이토록 자유롭지만, 익숙한 것들과 결별하고 고독을 자처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여기에서의 고독은 외로움과는 다르지요. 외로운 시간은 나를 옭아매지만, 고독한 시간은 나를 자유롭게 하기 때문입니다. 군중 속의 자유가 아니라 고독 속의 자유를 느끼는 것입니다.

자유와 고독은 서로 대척점에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공존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매일 15킬로미터 정도,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 걷고 있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1.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세상을 설계하는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2. 김태흠 충남지사 "5개 비전으로 진정한 지방자치 실현"
  3. 사단법인 사랑의 사다리,기획재정부 공익법인 지정
  4. 2025 농촌 재능나눔 대학생 캠프 스타트...농촌 삶의 질 개선 기여
  5. 농협, 'K-라이스페스타'로 쌀 소비 붐 조성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