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산단 추가' 대전시 535만평 산단조성 가속화

  • 정치/행정
  • 대전

'신규 산단 추가' 대전시 535만평 산단조성 가속화

26일 5곳 58만평 조성 계획 발표
뿌리산업과 첨단산업 육성 할 것

  • 승인 2024-03-27 08:58
  • 신문게재 2024-03-27 1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신규 산단 5개소 위치도
신규 산업단지 5개소 조성 계획 현황. 제공은 대전시
대전시가 신규 산업단지 5곳 조성 계획을 발표하는 등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산업단지 535만평 조성을 가속화 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6일 대전시청 기자브리핑실에서 "첨단 전략산업 육성을 통한 일류경제 도시 실현을 위해 경제발전에 초석이 될 신규 산업단지 5곳 189만1000㎡(58만평)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규 산업단지 예정지는 ▲동구 판암IC 일원 삼정지구(21만8000㎡, 7만 평) ▲평촌산단 인근인 서구 오동 지구(82만4000㎡, 25만 평) ▲방동저수지 인근인 봉곡 지구(33만2000㎡, 10만 평) ▲대덕구 신대지구(29만1000㎡, 9만 평) ▲유성구 가정로 일원 대덕특구 K-켄달스퀘어(L=1.8km, 22만6000㎡, 7만 평) 등 총 5곳이다. 동구 삼정지구와 서구 봉곡지구는 뿌리산업 육성을 위한 특화 산단으로 조성하며, 서구 오동지구는 국방·우주·항공 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 산단이 들어선다. 대덕구 신대지구는 물 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등 4개 산단은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이와함께 시는 대덕특구 가정로 일원에 직장·주거·문화가 융복합된 고밀도 혁신 공간구축을 위한 '대덕특구 K-켄달스퀘어'조성계획도 발표했다. '대덕특구 K-켄달스퀘어'는 정부의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방안에 맞춰 미래 첨단전략 산업 육성을 위한 다기능·고밀도의 융복합 혁신 공간구축 사업이다.



시는 지난해 11월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으며, 올해 안에 공기업 평가원의 타당성 검토를 완료하고 과기부에 특구 개발계획 수립을 요청하는 등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발표한 신규 산단 조성 예정지 중 K-켄달스퀘어를 제외한 4개 지구에 대해 개발행위허가 제한을 이날 실시했다.

앞서 시는 서구 평촌(26만평)과 장대 도첨(2만평), 한남대캠퍼스(1만평), 안산·국방(48만평), 탑립·전민(24만평), 하기지구(7만평), 나노·반도체 국가산단(160만평) 등 8곳(280만평)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이날 5곳(58만평)을 추가하면서 338만평의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향후 7곳(197만평)에 대한 조성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시장은 "일류경제도시 대전을 위해서는 적기에 산업단지를 공급하는 게 중요해 500만평 산업단지 조성을 민선 8기 약속 사업으로 추진 중"이라면서 "이번에 발표한 5개소를 포함해 535만평 산단 조성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4대 전략산업을 포함한 첨단 산업과 뿌리산업 육성해 과학수도 대전에 경제 규모를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지부진한 안산·국방 산단 조성에 대해 이 시장은 "감사원에서 산업은행의 정책자금 운용 적정성 여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대전도시공사가 10%의 지분에 참여해 공공성을 높이는 등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대-국립공주대,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2. 순천향대,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과 'AI의료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업무 협약
  3. 아산축협-아산먹거리재단, "우리 지역 제철 농산물 싸게 사세요"
  4. 음봉면-주민자치회, 위기가구 발굴 업무협약 체결
  5.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1.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2. [부고]마정미 한남대 교수 시모상
  3. 파주시,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 8월 1일 개원
  4. 재전부여군민회에서 부여군에 수해복구 기부금 1000만 원 전달
  5. 2025 세계모유수유주간 슬로건 '모유수유를 최우선으로!'

헤드라인 뉴스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국립공주대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충남대와 국립공주대가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해 '대학본부 차원의 실무 간담회'와 '직원 인사 방침에 대한 공식 합의'를 연이어 진행했다. 양 대학은 8월 1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 컨벤션홀에서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추진을 위한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를 열고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부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교무처·학생처·기획처·연구처를 비롯해 국제교류본부·대학원·대외협력본부 등 양 대학 본부 소속의 처장과 부처장, 팀장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초광역 대학 통합, 초연결..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