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6716세대로 한 달 전(2만 7013세대)보다 1.1%(297세대) 감소했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감소한 것은 2023년 8월 이후 23개월 만에 처음이다. 다만, 감소한 물량을 보면, 220세대가 수도권에 위치해 지방 미분양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4396세대, 지방 2만2320세대로 지방의 비중이 83.5%를 차지했다. 수도권의 경우, 경기가 2187세대로 전월 대비 149세대 감소했고 인천도 1542세대로 46세대 줄었다. 서울은 25세대 줄어든 667세대로 나타났다.
충청권은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먼저 대전의 경우 514세대로 한 달 전(530세대)보다 16세대(3%) 줄었으며, 세종도 1세대가 줄어든 57세대(1.7%)로 집계됐다. 충남은 1259세대로 전월(1272세대)보다 13세대(1%) 감소했고, 충북도 542세대로 전월(550세대)보다 8세대(1.5%) 줄었다.
준공 후 미분양을 포함한 전국의 미분양 세대 수는 6만3734세대로, 전월(6만 6678세대) 대비 4.4%(2944세대) 감소했다. 수도권은 1만3939세대로 1367세대(8.9%), 지방은 4만9795세대로 1577세대(3.1%) 줄었다.
악성 미분양은 줄었지만, 올해 상반기 주택 공급 관련 지표는 모두 악화했다. 전국 상반기 주택 인허가 물량은 13만 8456세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6% 줄었다. 충청권에서 대전은 6567세대로 지난해 상반기(1만 3282세대)보다 50.6% 줄면서 절반 이상 감소했고, 충남과 충북도 각각 51.1% 47.9% 감소했다. 세종은 올해 상반기 52세대에 그치면서 98.5% 줄었다.
주택 착공도 상황은 비슷했다. 전국 착공 물량은 10만 3147세대로 지난해 상반기(12만 7249세대)보다 18.9% 감소했다. 대전은 2410세대로 지난해 상반기(6632세대)보다 63.7% 줄었으며, 충남과 충북도 각각 60.9%, 26.4% 감소했다. 반면, 세종은 1186세대 규모로 상반기에 착공이 이뤄지면서 지난해 상반기(103세대)보다 1051.5% 늘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 |
2025년 6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