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에도 SNS가 있었다?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에도 SNS가 있었다?

최정민/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수료

  • 승인 2024-03-31 16:3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인터넷이 일상 속에 스며들게 되면서 SNS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커뮤니티 안에서 또 다른 자아, 즉 아바타를 만들어 타인과 소통하거나 본인의 일상 사진을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일상을 공유하는 방식이 지금의 SNS와 유사하다면 믿겠는가?

조선후기는 신분제가 와해되고 대동법과 화폐유통을 통해 부(富)의 축적이 가능해지면서 한양도성을 중심으로 소비문화(消費文化)가 촉진되었다. 소비문화란 소비하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것으로써, 남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욕구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문화가 소비문화인 것이다. 즉, 어떠한 소비를 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정체성이 평가받는 것이다. 소비문화와 함께 완상문화(玩賞文化)도 결을 같이한다. '완상'은 사전적인 의미로 '즐겨 구경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두 문화는 물질적 여유를 기반으로 '풍류(風流)를 즐긴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과거뿐만 아니라 2024년에도 여전히 소비문화와 완상문화는 현재 진행형이다. 즉, SNS 속 명품, 자동차, 골프, 해외여행 등 풍류에 빠져있는 것처럼 말이다. '풍류'는 즐기는 모습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사전적인 의미로 볼 때, '멋과 운치가 있는 일, 혹은 그렇게 즐기는 행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화를 '풍류문화(風流文化)'로 정의하고 싶다.

그렇다면, 조선후기의 우리 조상들은 어떠한 풍류를 즐겼을까? 이는 당시 화가들이 남긴 작품을 통해 그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조선후기 풍속화가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758-?)은 『풍속도화첩(風俗圖畵帖)』에서 양반 사회의 풍류를 소재로 삼았으며, 총 30장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혜원의 그림은 강 위에서 뱃놀이를 하거나, 가야금을 들으며 연못을 구경하는 등 가무를 즐기는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그림 1). 이와 같은 문화생활 외에도 외국에서 들어온 서책을 모으고, 애완용 비둘기를 키우기도 했으며 괴석 또는 매화, 그리고 소나무 분재 등을 수집하여 사랑방(舍廊房)에서 감상하였다. 오늘날의 사치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조선 18?19세기 서민들의 궁핍한 삶에서는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그림들을 그렸던 것이다.



1
<그림 1> 혜원 신윤복, <주유청강(舟遊淸江)>, 『풍속도화첩(風俗圖畵帖)』, 18세기 후반, 국보 135호, 수묵채색화, 28.2×35.6cm, 간송미술관 소장
2
<그림 2> 단원 김홍도,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18세기, 종이에 수묵 담채, 37×27.9cm, 개인 소장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의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는 2024년, 인플루언서들의 SNS 속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그림 2). 그림 속 인물은 중국에서 전래된 현악기 당비파(唐琵琶)를 연주하고 있다. 그의 주변에는 쉽게 구할 수 없었던 물품들을 늘어놓았는데, 중국의 것으로 여겨지는 도자기들, 서책상자, 검, 파초의 잎사귀 등이 인물과 어울려 조화를 이룬다. 이처럼 서민들은 구할 수 없었던 물품을 수집하는 행위는 조선후기, 새로운 풍류활동으로 번지기 시작했다. 이는 개인의 문화적, 예술적 허영심을 채워줄 뿐 아니라 사회적 위치를 입증해나가는 방식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물론 작품에 그려진 인물들은 당시 사대부(士大夫)이거나, 부를 축적하여 여유를 즐길 수 있었던 사람들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경제적 여건을 떠나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으다)', '욜로(Yolo, 인생은 단 한번뿐이니 현재를 즐기자)'라는 새로운 사회현상이 대두되면서 풍류문화가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SNS 속 조금만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잘 꾸며진 모습과 멋드러진 음식들 그리고 테이블 위에 명품백을 올려놓고 이른바 '일상'이라 하며 게시글을 업로드 한 것처럼 말이다. 조선후기 작품도 당시의 사회현상을 그림이라는 기록물로 남긴 것처럼, 오늘날의 SNS 피드에 수많은 풍류문화가 담겨져 있는 것도 변화된 SNS의 현대적 모습이 아닐까?

최정민/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수료

최정민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세종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건립안 확정...2027년 완공
  3.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4.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5.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1.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 교원들 "출결 민원 끊이지 않아"
  2. 대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이장우 "법 어길 수 없다" 중앙로 지하상가 강경입장
  3. 감스트,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서 팬사인회… 인파 몰려 인기실감
  4. 민주평통 유성구협의회, 백두산 현장견학…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의 길을 찾아서"
  5. [사설] 불법 홀덤펍, 지역에 발붙여선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부정수급 만연…"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