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다시 생각하는 올림픽 정신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다시 생각하는 올림픽 정신

정용래 유성구청장

  • 승인 2024-08-08 16:29
  • 신문게재 2024-08-09 1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동정사진
정용래 유성구청장
올림픽 정신은 여전히 유효한가? 답은 다소 회의적이다. 스포츠를 통한 세계 평화 증진이라는 구호부터 그렇다. 올림픽 기간 휴전은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의 전통이었다. 무기를 내려놓다는 의미의 그리스어인 '에케케이리아(Ekecheiria)'로 불린다. 1994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고대 올림픽의 전통을 살려 올림픽 기간만이라도 포성을 멈추자고 했다. 그 제안은 공허했다. 이후에도 올림픽 기간 지구촌에는 크고 작은 분쟁이 이어졌다. 이번 2024 파리올림픽 기간에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멈추지 않았고,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중동에는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돈다.

탁월함(Excellence), 존중(Respect), 우정(Friendship)이라는 올림픽 3대 가치도 자주 훼손되곤 했다. 이런 가치를 바탕으로 '중요한 것은 승리가 아니라 경쟁 그 자체이고, 이기는 게 아니라 잘 싸우는 것'이라는 올림픽의 목표도 공허하다. 이념을 앞세운 대회 보이콧이 반복됐고, 체제 경쟁에서의 우위를 과시하기 위해 잘 싸우기보다 이기는 게 전부이기도 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올림픽은 국위선양의 무대였다. 금메달 개수가 전부였다. 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했다. 세계 2위에 오르고도 "금메달을 따지 못해 죄송하다"며 눈물로 사과하는 선수가 많았다. 그래서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올림픽 정신은 과연 유효한가?



파리올림픽이 곧 막을 내린다. 회의적인 질문은 잠시 접고 한국 선수들의 경기를 뜨겁게 응원했다. 여자 양궁이 단체전 10연패의 위업을 달성하고, 남자 개인전의 김우진이 마지막 10점 한 발로 전 종목 석권의 화룡점정을 찍을 때 환호성을 질렀다. 배드민턴의 안세영이 금메달을 확정하고 포효하는 순간에는 나도 모르게 울컥했다. 금메달을 목에 건 선수만 감동을 준 것은 아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아쉽게 패하고도 일본 선수와 감독에게 다가가 축하 인사를 건네는 신유빈은 대견했다. '삐약이'가 아니라 어느새 품격 있는 어른이었다. 사격 은메달리스트 김예지의 카리스마 넘치고 쿨한 모습에 세계가 반했다.

한국 선수들은 메달을 향해서만 뛰는 게 아니었다. 올림픽 정신을 재정의했다. 먼저 공정이다. 한국 양궁 대표 선발전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오죽하면 올림픽 메달을 따는 것보다 대표 선발전 통과가 더 어렵다는 말이 나왔겠는가. 그런 과정의 공정이 뛰어난 결과로 이어졌다. 그리고 품격이다. 양궁의 김우진은 마지막까지 명승부를 펼친 미국 앨리슨의 손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우승 세레머니를 대신했다. 유도 최중량급의 김민종은 결승전에서 자신을 한판으로 눕힌 프랑스의 리네르에게 존경을 표했다. 승리하면 마음껏 기뻐하되 패배하면 결과를 기꺼이 수용했다. 패자를 위로하고 승자를 존중했다. 스포츠에서 품격은 페어플레이의 이음동의어다.



공정과 품격은 올림픽과 스포츠에만 필요한 요소가 아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행정 등 모든 분야에서 우리가 당장 회복하고 바로 세워야 할 원칙이다. 공정을 슬로건으로 내걸었지만, 우리 사회가 더 공정해졌다고 믿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연이어 불거지는 각종 의혹과 이슈를 보면서 많은 사람이 우리 사회의 품격이 이렇게 무너져도 되는지 걱정하고 있다. 승자 독식이 심화하고 패자 부활전은 요원해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종목별 협회는 우리 사회의 축소판처럼 보인다. 공정과 품격, 민주적 절차가 훼손된 단체는 어김없이 잡음이 불거졌고 성적도 좋지 않았다. 팬들은 등을 돌리고 여론의 지탄을 받는다.

공정과 품격은 우리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한 최소한의 원칙이다. 우리 구부터 그런 올림픽 정신이 충만한 곳으로 만들고 싶다. 뜨거운 열정과 감동으로 한여름 무더위를 잊게 한 한국 선수들의 활약을 보며 다진 각오다. 올림픽 정신을 다시 돌아보게 해준 국가대표 선수들이 고맙다. 여러분의 건투를 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2.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3.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4. 김태흠 “6.25 참전유공자 희생·헌신 잊지 않을 것”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아니 갑자기 이렇게? 10번 문제에 우수수 탈락
  1.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즐겁게 퀴즈풀며 안전상식 배웠다… 2025 예산군 어린이 안전골든벨 '성료'
  2. 충남도, 내년 국비 확보 총력… 김태흠 지사 국회 방문
  3.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최형규 예산군 산업건설국장 "안전상식 배우고 실천해주길"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아이들 행복의 기초는 안전"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