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환자 100만 시대… 30∼40대 최다·여성도 급증

  • 정치/행정
  • 국회/정당

탈모 환자 100만 시대… 30∼40대 최다·여성도 급증

최근 5년간 탈모증 진료 111만5882명…진료비만 1910억원 규모
40대 환자 21.9%, 30대 21.4%, 20대 18%… 2019년 이후 매년 여성 10만명 이상 진료
장종태 의원 “실질적인 지원 방안 마련 시급”

  • 승인 2024-10-04 10:35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탈모비
제공=장종태 의원실
30대와 40대가 탈모 환자의 절반에 육박하고, 여성 탈모 환자는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남성의 고민이던 탈모가 연령과 성별을 가리지 않으면서 진료비 또한 매년 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6월) 탈모증으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은 국민은 111만5882명으로 집계됐다.

국회의원 장종태 프로필
장종태 의원
2020년 23만4033명이던 탈모 환자는 2021년 24만4185명(4.3%↑), 2022년 24만8801명(1.9%↑)으로 증가세를 보이다 2023년 24만3557명(2.1%↓)으로 소폭 감소했다. 진료를 받지 않는 이른바 '샤이 탈모인'까지 포함하면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탈모 진료비도 꾸준히 증가해 같은 기간 1910억여원이 지출됐다. 2020년 210억원 수준이던 진료비는 2021년 230억원, 2022년 240억원, 2023년 247억원으로 늘었다. 1인당 진료비는 2020년 16만6000원, 2021년 17만2000원, 2022년 17만6000원 2023년 18만4000원으로, 평균 17만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탈모는 한국표준질병 코드로 부여받은 질환임에도, 원형과 지루성 탈모의 경우에만 보험 보장이 가능해 탈모로 진단을 받고도 환자가 전액 치료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탈모1
탈모2
제공=장종태 의원실
최근 5년간 탈모 치료를 받은 환자 111만5882명 중 남성은 62만7192명(56.2%), 여성은 48만8690명(43.8%)이었다. 여전히 남성이 많지만, 여성 탈모 환자 수는 2019년 이후 매년 10만 명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40대 탈모 환자가 24만4599명(21.92%)으로 가장 많고, 30대 23만9688명(21.4%), 20대 20만683명(18%) 등이다.

장종태 의원은 "중·장년층은 물론 청년과 여성까지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스트레스로 인해 탈모 환자가 꾸준히 급증하고 있다"며 "사회생활을 가장 활발히 해야 할 시기의 탈모는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탈모로 고통받는 100만 국민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