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수능 채점] 쉬웠던 국어·수학 만점자 1000명 넘어, 전과목 만점자도 11명

  • 사회/교육
  • 교육/시험

[2025 수능 채점] 쉬웠던 국어·수학 만점자 1000명 넘어, 전과목 만점자도 11명

사탐은 9개 과목 중 6개 작년보다 어려워

  • 승인 2024-12-05 17:42
  • 신문게재 2024-12-06 1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수능 채점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5일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 국어와 수학 영역이 지난해보다 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만점자 수가 각각 1000명을 넘어서며 전 과목 만점자도 11명에 달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결과를 5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은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보다 낮아졌다. 국어가 139점으로 지난해 150점보다 11점 내려갔고 수학은 140점으로 지난해 148점에서 8점 하락했다. 통상 시험이 어려울 땐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아지고, 쉬우면 하락한다.

국어 만점자는 1055명으로 지난해 64명보다 16.5배 늘었다. 2022년 통합 수능 도입 이래 최고치다. 수학 만점자도 1522명으로 지난해 612명의 2.5배 증가했다.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지난해 만점자는 졸업생 1명이었는데 올해는 11명이 총 전 과목에 만점을 받았다"라며 "이 중에서 재학생은 4명 졸업생은 7명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절대평가인 영어 1등급 비율은 지난해보다 4.71% 상승한 6.22%로 나타났다.

입시 전문가들은 최상위권에선 국어보다 수학 과목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영어는 사실상 변별력이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 자연계 학생 중 사탐을 선택한 학생들이 탐구 영역에서 고득점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탐구영역의 경우 사탐 9과목 중 6과목이 지난해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해 어려웠던 것으로 확인됐다. 생활과 윤리가 77점, 정치와 법은 66점으로 11점 차이가 났다. 과학탐구는 8과목 중 2과목만 상승했다. 만점자 표준점수는 화학II가 73점, 화학I은 65점으로 8점 차이가 났다.

'사탐런'으로 불리는 자연계 학생 사탐(사회탐구) 응시생이 급등했다. 사탐만 응시한 수험생은 22만 5135명으로 지난해보다 12.6% 상승한 반면 과탐(과학탐구)만 응시한 수험생은 17만 4649명으로 지난해보다 18.2% 감소했다.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의 1등급 비율은 19.62%(9만950명)로 작년 18.81%보다 0.81%p 상승했다. 제2외국어·한문 1등급(원점수 45점 이상) 학생 비율은 중국어Ⅰ이 11.43%을 기록했고 아랍어Ⅰ는 1.26%에 그쳤다.

올해 수능에는 46만3486명이 응시했다. 재학생은 30만2589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6만897명이다. 개인별 배부되는 성적표는 6일 재(출신)학교에서 받아볼 수 있다.
오현민 기자 dhgusals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4.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5. 한국영상대 학생 주도 영화 '우리의 이름' 26일 전국 개봉
  1. 세종시 장애인체육회 '보치아·펜싱' 선수단...국내외 무대 호령
  2.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3.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4.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5.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